[비즈니스포스트] 기아 노사가 현대차와 달리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에서 입장 차를 쉽사리 좁히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노조가 사측에 로봇,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신사업 추진 시 국내에 공장을 지을 것을 요구하면서, 노사 협상이 난관에 부딪히고 있다.
최근 국회를 통과해 내년 발효될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조와 3조 개정법)은 노조의 쟁의 대상을 ‘근로조건 결정’에서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 경영상 결정’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로봇 등 신사업 미국 투자 계획이 자칫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아 노조가 노란봉투법 발효를 계기로 신사업과 관련한 해외 투자가 국내 고용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이 문제를 올해 단체협상의 주요 의제로 내세우고 있어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지난해까지 4년 연속 무파업 임단협 타결을 이끈 공로로 작년 사장에 오른 최준영 기아 대표이사가 올해 임단협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0일 관련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기아 노사가 지난 4년 동안 이어온 무파업 임단협 타결 기록이 올해 깨질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아 노사는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파업 없이 임단협을 타결했다. 특히 최 사장은 2021년 임단협에서 2011년 이후 10년 만에 파업 없는 타결을 이끌어내 주목 받았다.
1963년생인 최 사장은 2018년부터 기아 대표이사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2022년부터는 국내생산담당 겸 안전보건최고책임자(CSO)가 됐다.
최 사장은 현대차그룹에서도 대표적 노무 전문가로 꼽힌다. 대표이사에 오르기 전까지 6년 넘게 노무지원사업부장으로 일했는데, 이는 역대 기아 노무지원사업부장 가운데 최장 근무기간이다. 지난해 11월 현대차그룹 임원인사에서 그는 사장으로 승진했다.
하지만 올해 임단협에서 최 사장이 협상력을 통해 노사 합의점을 이끌어내기가 그 어느 때보다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 노조가 임단협 테이블에 임금인상과 성과급 지급 건 외에 신사업 추진 시 사전에 노조에 통보하고, 신사업 관련 공장을 국내에 건설해야 한다는 안건을 올렸기 때문이다.
기아 노조는 수소차, 로봇,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등 신사업을 비롯해 전기차, 주행거리연장형 전기차(EREV) 등 친환경차의 핵심 부품을 생산·조립하는 공장을 국내에 설립하는 조항을 단체협약에 넣을 것을 주장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미국에 연간 3만대 이상의 로봇을 생산할 수 있는 50억 달러(약 7조 원) 가량의 추가 투자 계획을 밝혔다. 그룹은 또 미국에서 AAM 사업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아 노조가 정의선 회장의 미국 신사업 투자 계획을 정면 반대하는 단체협상안을 요구하고 있어, 최 사장 입장에선 올해 임단협이 단순한 기아 노사 협상만의 문제가 아닌 것이 돼버렸다.
또 이 문제가 노란봉투법 발효에 따라 내년부터 노조의 합법적 쟁의 대상이 된다는 점도 최 사장에겐 '발등의 불'이 되고 있다.
최 사장은 지난 8월21일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열린 고용노동부와 주요 6개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노란봉투법 시행이 임단협에 미칠 영향에 대해 “많은 영향이 있을 것이고, 올해보다는 이후가 더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기아 노조는 임금과 관련해서도 현대차 노조가 요구했던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
기아 노조가 제시한 임금 요구안에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 지난해 영업이익의 30%인 3조8천억 원을 성과급으로 지급, 통상임금 관련 조합원 특별위로금 2천만 원 지급 등이 담겼다. 또 단체협상 건으론 신사업 관련 국내 공장 건설, 만 64세까지 정년 연장, 주 4일제 도입 등이 포함됐다.
기아 노사는 지난 4일 4차 본교섭까지 진행했지만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 기아 노조 일각에선 임단협 타결을 위해 현대차 노조처럼 파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부분파업 등 협상 강도를 높인 뒤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이끌어냈기 때문에 기아 노조도 협상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카드로 부분파업을 꺼낼 가능성이 있다”며 “하지만 신사업 관련한 국내 공장 건설 요구를 사측이 쉽게 받아들이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
최근 국회를 통과해 내년 발효될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조와 3조 개정법)은 노조의 쟁의 대상을 ‘근로조건 결정’에서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 경영상 결정’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로봇 등 신사업 미국 투자 계획이 자칫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아 노조가 노란봉투법 발효를 계기로 신사업과 관련한 해외 투자가 국내 고용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이 문제를 올해 단체협상의 주요 의제로 내세우고 있어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지난해까지 4년 연속 무파업 임단협 타결을 이끈 공로로 작년 사장에 오른 최준영 기아 대표이사가 올해 임단협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기아 노사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에서 입장 차를 좁히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최준영 기아 대표이사 사장이 과연 올해도 무파업 임단협 타결을 이끌어낼지 주목된다. 최 사장이 지난 4월7일 경기도 용인시 기아 오산교육센터에서 열린 전기차 정비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 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관련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기아 노사가 지난 4년 동안 이어온 무파업 임단협 타결 기록이 올해 깨질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아 노사는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파업 없이 임단협을 타결했다. 특히 최 사장은 2021년 임단협에서 2011년 이후 10년 만에 파업 없는 타결을 이끌어내 주목 받았다.
1963년생인 최 사장은 2018년부터 기아 대표이사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2022년부터는 국내생산담당 겸 안전보건최고책임자(CSO)가 됐다.
최 사장은 현대차그룹에서도 대표적 노무 전문가로 꼽힌다. 대표이사에 오르기 전까지 6년 넘게 노무지원사업부장으로 일했는데, 이는 역대 기아 노무지원사업부장 가운데 최장 근무기간이다. 지난해 11월 현대차그룹 임원인사에서 그는 사장으로 승진했다.
하지만 올해 임단협에서 최 사장이 협상력을 통해 노사 합의점을 이끌어내기가 그 어느 때보다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 노조가 임단협 테이블에 임금인상과 성과급 지급 건 외에 신사업 추진 시 사전에 노조에 통보하고, 신사업 관련 공장을 국내에 건설해야 한다는 안건을 올렸기 때문이다.
기아 노조는 수소차, 로봇,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등 신사업을 비롯해 전기차, 주행거리연장형 전기차(EREV) 등 친환경차의 핵심 부품을 생산·조립하는 공장을 국내에 설립하는 조항을 단체협약에 넣을 것을 주장하고 있다.

▲ 기아 노조는 수소차, 로봇,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등 신사업 추진 시 국내에 공장을 건설할 것을 단체협상안으로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하임봉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자동차지부 지부장. <기아 노조 홈페이지 갈무리>
현대차그룹은 최근 미국에 연간 3만대 이상의 로봇을 생산할 수 있는 50억 달러(약 7조 원) 가량의 추가 투자 계획을 밝혔다. 그룹은 또 미국에서 AAM 사업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아 노조가 정의선 회장의 미국 신사업 투자 계획을 정면 반대하는 단체협상안을 요구하고 있어, 최 사장 입장에선 올해 임단협이 단순한 기아 노사 협상만의 문제가 아닌 것이 돼버렸다.
또 이 문제가 노란봉투법 발효에 따라 내년부터 노조의 합법적 쟁의 대상이 된다는 점도 최 사장에겐 '발등의 불'이 되고 있다.
최 사장은 지난 8월21일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열린 고용노동부와 주요 6개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노란봉투법 시행이 임단협에 미칠 영향에 대해 “많은 영향이 있을 것이고, 올해보다는 이후가 더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기아 노조는 임금과 관련해서도 현대차 노조가 요구했던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
기아 노조가 제시한 임금 요구안에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 지난해 영업이익의 30%인 3조8천억 원을 성과급으로 지급, 통상임금 관련 조합원 특별위로금 2천만 원 지급 등이 담겼다. 또 단체협상 건으론 신사업 관련 국내 공장 건설, 만 64세까지 정년 연장, 주 4일제 도입 등이 포함됐다.
기아 노사는 지난 4일 4차 본교섭까지 진행했지만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 기아 노조 일각에선 임단협 타결을 위해 현대차 노조처럼 파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부분파업 등 협상 강도를 높인 뒤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이끌어냈기 때문에 기아 노조도 협상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카드로 부분파업을 꺼낼 가능성이 있다”며 “하지만 신사업 관련한 국내 공장 건설 요구를 사측이 쉽게 받아들이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