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일순 홈플러스 대표이사 사장이 홈플러스 체질 개선 과정에서 노사갈등에 직면했다.

임 사장은 대주주 MBK파트너스의 투자자금 회수를 위해서도 체질 개선에 성공해야 한다. 그러나 노조는 임 사장이 추진한 비정규직의 정규직조차도 의심의 눈길을 보내며 구조조정 작업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오늘Who] 임일순, 홈플러스 체질개선 과정에서 노조 반발에 직면

▲ 임일순 홈플러스 대표이사 사장.


3일 홈플러스일반노동조합(홈플러스 노조)에 따르면 4일 서울 강서구 홈플러스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회를 연다. 

홈플러스 노조는 “홈플러스가 10월23일 파견직 경비노동자 전체를 계약해지하겠다고 통보했다”며 “전국 홈플러스 경비 노동자는 1500여 명으로 20대~50대 중, 장년층이 하루 아침에 일자리를 잃게 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홈플러스 노조는 11월30일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와 손잡고 홈플러스 본사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임 사장에게 항의서한을 전달하기도 했다. 

이들은 홈플러스 본사가 보안업체, 베이커리 판매회사, 콜센터, 헬스플러스 등과 계약을 해지해 최대 1800여 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노조는 홈플러스가 경비업체 등과 계약을 해지하면서 결국 보안 업무까지 직원들에게 떠넘기게 될 것이라며 회사가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 사장이 노사갈등 양상을 놓고 부심할 것으로 보인다. 

홈플러스는 현재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준비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노사관계가 나빠지면 이런 작업에서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홈플러스는 2018년 동김해점과 부천중동점을 폐점했고 2019년 2월까지 홈플러스리츠를 상장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홈플러스리츠는 알짜 매장 40여 곳을 묶어 운영하는데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리츠를 통한 구주매출과 리츠에서 얻는 배당금 수익 등을 확보하게 된다. 

올해 7월에는 홈플러스 사상 처음으로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았고 최근에는 하청업체와 계약을 해지하기도 했다. 이를 놓고 홈플러스의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투자금 회수를 위한 준비 단계를 밟은 것이라고 업계는 바라봤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 홈플러스 지분을 7조 원 이상 투자해 인수했다. 워낙 투자 규모가 커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다시 팔아 투자금을 회수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많았다.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당장 팔지 않더라도 배당금 등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하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임 사장은 이런 작업을 진행할 적임자로 꼽혀왔다. 
 
[오늘Who] 임일순, 홈플러스 체질개선 과정에서 노조 반발에 직면

▲ 홈플러스일반노동조합 조합원들이 11월30일 서울 홈플러스 본사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임 사장은 1998년부터 코스트코, 바이더웨이, 호주의 엑스코그룹 등에서 재무 업무를 주로 맡아온 재무 전문가로 꼽힌다.

홈플러스는 2015년까지만 해도 영업손실을 냈지만 임 사장이 영입돼 본격적으로 업무를 진행한 2016년부터 영업이익이 흑자로 돌아서기 시작했다. 

하지만 임 사장이 취임 1년 차에 노사갈등이라는 암초를 만나게 된 셈이다. 

이 때문에 임 사장이 12월1일부터 장기근속 무기계약직 직원 600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것도 진정성을 의심받고 있다. 홈플러스는 올해 들어 모두 1200여 명의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 직원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노조는 “원래 고용하고 있던 노동자의 고용형태를 바꾸는 것일 뿐 새로운 직원을 뽑는 게 아니다”며 “홈플러스 본사가 1800여 명의 하청업체 직원을 자르는 것을 놓고 잡음을 줄이기 위해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임 사장은 비정규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을 놓고 “대내외적으로 어려워진 경영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노사가 대화를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노조는 임 사장이 언급한 '노사 간 대화'를 놓고 거짓말이라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임 사장이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와 노조 사이에서 갈수록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