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는 11월4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재무부(MoF) 등 베트남 금융당국과 아시아개발은행(ADB), 아세안+3거시경제조사기구(AMRO) 등 국제기구 관계자들을 초청해 ‘2025 BP금융포럼 in 하노이: 한-아세안 협력 확대를 위한 금융의 역할’을 연다. 비즈니스포스트는 포럼에 앞서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아세안 금융협력 확대의 기회요인을 짚어보고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편집자 주>

- 글 싣는 순서
① 이재명 정부 베트남에 뜨거운 러브콜, K금융 아세안 중심에서 다시 뛴다
② K금융의 베트남 전방위 공략, 디지털과 현지화가 무기
③ 베트남 증시 '코스콤 시스템' 달고 글로벌 약진, 국내 증권사들에겐 '기회의 땅'
④ 아세안 경제 버팀목 ADB와 AMRO, ‘개발’ ‘안정’ 축으로 한국·베트남도 지원사격
⑤ 베트남시장의 명과 암 “금융의 동남아 전초기지 베트남, 고성장 매력만큼 위기대응도 중요”
⑥ [인터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곽성일 “대외 개방적·대내 안정적 베트남 시장, 다각도 협업 가능”

[BP금융포럼 in 하노이 프롤로그④] 아세안 경제 버팀목 ADB와 AMRO, '개발' '안정' 축으로 한국·베트남도 지원사격

▲ 이재명 대통령(왼쪽 6번쨰)이 27일 ‘제28차 아세안(ASEAN)+3 정상회의에 참석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비즈니스포스트]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 지역 협력체 아세안(ASEAN) 등의 전략적 역할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 금융협력과 정책 공조 등으로 아세안 지역 전반에서 생산적 금융과 디지털 전환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경제의 오랜 ‘파트너’ 베트남도 아세안에 포함돼 제도개혁과 금융시장 개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 발전에 힘을 싣는 아시아개발은행(ADB)과 시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 아세안+3거시경제조사기구(AMRO)가 주목받는다.

한국과 베트남 모두 ADB와 AMRO 역내 전략 실행에 실질적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BP금융포럼 in 하노이 프롤로그④] 아세안 경제 버팀목 ADB와 AMRO, '개발' '안정' 축으로 한국·베트남도 지원사격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8월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칸다 마사토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와 화상 면담으로 ‘ADB-한국기후기술허브(K-Hub) 설립협정문’에 서명했다. <기획재정부>

먼저 1966년 설립된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 발전과 빈곤 감소를 돕고자 만들어진 다자개발금융기구다.

회원국 69개 가운데 50개 국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속해있다.

핵심 목표는 △포용적(inclusive) 성장 △회복력(resilient) 있는 성장 △지속가능한(sustainable) 성장을 촉진하고 기후변화 대응 및 지역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아세안 지역에서도 여러 프로젝트를 도우며 ‘성장엔진’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ADB는 회원국 정부에 보조금, 정책연계대출 등의 형태로 직접 대출을 제공한다. 

또 민간 프로젝트를 지원하며 지역 내 민간투자 활성화와 지속가능 인프라, 녹색금융 참여 등을 유도하고 있다.

회원국 정책 체계 강화나 개발사업 준비 지원, 사업 타당성 조사 등 기술지원도 제공한다.

한국은 ADB 창립 회원국으로 1968년 처음 ADB 지원을 받은 뒤 약 20년 만에 공여국으로 전환했다.

이후 신탁기금, 협조융자 등으로 ADB와 협력해 왔으며 스마트 인프라, 기후변화 등에서 협력을 이어가고자 하고 있다.

올해 8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칸다 마사토 ADB 총재와 화상면담을 갖고 한국 기후기술허브(K-Hub) 설립협정문에 서명하기도 했다.

베트남은 역시 ADB 설립 회원국으로 오랜 시간 파트너십을 유지해 온 나라다.

1993년부터 베트남과 ADB 사이 금융 및 기술협력 관계가 이어지고 있다. 

ADB는 베트남에 공여 형태로 자금을 지원할 뿐 아니라 에너지 전환, 인프라 확장, 기후변화 대응 등 여러 프로젝트 진행도 돕고 있다.

또 베트남이 도로, 철도 등 물리적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구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는 작업을 함께 추진한다.

ADB와 베트남은 에너지·운송·도시개발 등 인프라 확충 프로젝트와 함께 금융포용 확대, 기후회복력 강화 분야에서도 협력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BP금융포럼 in 하노이 프롤로그④] 아세안 경제 버팀목 ADB와 AMRO, '개발' '안정' 축으로 한국·베트남도 지원사격

▲ 4월11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아세안 금융협력포럼’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 포럼은 한-아세안 금융협력센터(AKFCC), 해외금융협력협의회(CIFC),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가 공동 주최했다. <한-아세안 금융협력센터>

아세안+3거시경제조사기구(AMRO)는 아세안 10개국과 한국·중국·일본(ASEAN+3)의 경제 및 금융 안정성을 지원하는 일종의 ‘정책 모니터링 및 자문’ 기구다.

2000년 5월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린 ASEAN+3(아세안 10개국+한국·중국·일본) 재무장관 회의가 출발점이었다. 

당시 회의에서는 1997~1998년과 같은 아시아 외환위기 사태가 다시 오지 않도록 서로 외환과 자금을 빌려주는 금융안전망을 만들자는 내용이 논의됐고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가 발족했다. 즉 CMI는 일종의 통화 스와프 관련 양자협정 형태였다고 할 수 있다.

그 뒤 양자협정을 묶어 하나의 공동기금처럼 운용하자는 논의가 나왔고 2010년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이 출범했다. 단순 협정을 넘어 실제 자금이 움직이는 ‘협력 기금’ 형태가 된 것이다.

하지만 CMIM이 실제 자금지원 제도로 작동하려면 협정에 포함된 어느 나라가 위기인지 진단하고 정책 자문을 할 기관이 필요해졌다.

이에 2009년 아세안+3 재무장관들은 역내 경제 관련 객관적 모니터링을 촉진하고자 독립적인 지역 감시 단위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AMRO는 2011년 싱가포르에서 보증유한회사(CLG)로 설립된 뒤 2016년 국제기구로 전환됐다.

즉 ASEAN+3 지역 국가 대상으로 CMIM이 ‘위기 상황에서 자금지원’을 담당한다면 AMRO는 ‘위기 예방과 정책 감시’를 맡아 지역금융안전망(RFA)을 구성한 것이다.

CMIM의 독립적 감시기구로 설립된 만큼 AMRO의 핵심 역할은 감시, 지역 금융 지원, 기술 지원, 지역 지식 허브 역할 등이다.

그리고 아세안+3 지역의 금융 협력 촉진으로 지역 거시경제 및 금융 회복력·안정성 제고를 돕는다.

AMRO는 각 나라 금융시장 위험을 진단하고 정책 권고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지역 안에서 위기가 발생하면 역내 금융안전망 운용을 지원한다.

이는 AMRO 설립 비전이 “독립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지역 조직으로서 아세안+3 회원국이 신뢰할 수 있는 정책 고문이자 글로벌 영향력을 미치는 리더가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AMRO의 정책 자문은 베트남을 포함한 아세안 국가들의 거시경제 회복력 제고에 중요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고 평가된다.

또 지역 경제 맥락 안에서 금융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처럼 ADB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개발과 지속가능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 AMRO는 아세안+3의 경제 정책 협력과 안정성 강화를 맡는다고 할 수 있다.

ADB와 AMRO는 아시아 개발과 금융안정이라는 두 축을 담당하며 한국과 베트남을 비롯한 아세안 국가에 중요한 협업 파트너로 자리하고 있다.
 
[BP금융포럼 in 하노이 프롤로그④] 아세안 경제 버팀목 ADB와 AMRO, '개발' '안정' 축으로 한국·베트남도 지원사격

▲ 6월 칸다 마사토 ADB 총재(오른쪽) 와타나베 야스토 AMRO 소장과 만나 논의하고 있다. <칸다 마사토 엑스(X, 옛 트위터)>

올해 6월 칸다 마사토 ADB 총재는 와타나베 야스토 AMRO 소장과 만나 아세안+3 지역 안정성 확보를 목표로 AMRO와 협력을 강화할 가능성을 드러냈다.

칸다 총재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ADB는 ASEAN+3 협력을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며 “역내 금융 안정성 강화를 목표로 AMRO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