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저널] 삼성물산 주택사업 철수설 나오기도 했는데, 오세철 '래미안' 아파트 최강자로 다시 세워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이사 사장이 그 어느 때보다 주택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삼성물산>

[씨저널]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이사 사장이 그 어느 때보다 주택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삼성물산이 한동안 국내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소극적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80도 달라진 모습이다. 

◆ 삼성물산, 올해 최대 수주 기록하나

삼성물산은 올해 들어 도시정비사업에서 국내 건설사 가운데 처음으로 수주액이 6조 원을 넘어서 현대건설(5조5357억 원)을 앞질렀다. 

2022년 현대건설이 9조3575억 원의 수주액을 쌓았을 때 삼성물산은 1조8686억 원의 수주액에 그쳤던 것과 대비되는 흐름이다. 

오세철 사장이 취임한 2021년 이후 삼성물산의 국내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은 해마다 늘었다.

2021년 9117억 원, 2022년 1조8686억 원, 2023년 2조951억 원, 2024년 3조6398억 원으로 조 단위 증가했는데 올해는 상반기 수주액만 해도 지난해 규모를 뛰어넘었다. 

지금까지 삼성물산의 주택 수주 최대 기록은 2006년 3조6556억 원이다. 올해 하반기 예상되는 수주까지 합치면 기존 기록을 2배 이상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 전체 건설사 가운데 주택 수주 최고 기록은 2022년 현대건설이 세운 9조3395억 원이다.  

삼성물산은 12년째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브랜드 ‘래미안’은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 아파트 부문에서 조사를 시작한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줄곧 1위를 차지했다.  

◆ 삼성물산의 최근 수주 행보

오세훈 대표는 1분기에만 5건의 수주 실적을 쌓았다.

1월 사업비 1조5696억원 규모의 서울 한남4구역 재개발 사업을 시작으로 2월 서울 송파 대림가락아파트 재건축 4544억원, 3월에는 서울 강서 방화6구역 재건축사업 2416억 원, 서울 송파 한양3차아파트 재건축사업 2595억 원, 서울 서초 신반포4차아파트 재건축사업 1조310억 원을 수주했다. 

2분기에도 3건의 수주 실적을 쌓았다. 4월 서울 장위8구역(1조1945억 원), 서울 광나루현대 리모델링(2708억 원), 6월 울산 B-04구역(6982억 원)을 수주했다. 

7월에는 서울 신정동 1152번지 재개발사업의 시공사로 최종 선정됐다. 하반기에도 수주 랠리가 이어질 전망이다. 

◆ 삼성물산 주택사업 공백기 생겼던 이유

삼성물산이 항상 국내 주택 사업에 열의를 보였던 것은 아니다. 한때 삼성물산 브랜드 ‘래미안’을 매각한다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수주에 나서지 않았다.  

삼성물산은 2013년경부터 주택사업 수주를 급격히 줄여왔다. 이후 2015년 서초구 무지개아파트 재건축 수주전에서 GS건설에 패한 뒤 2020년 신반포15차 사업 수주에 성공할 때까지 약 5년 동안 삼성물산은 한동안 국내 주택 시장에서 사라졌다.  

삼성물산이 2013년부터 주택 수주를 줄여온 것을 두고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 관련해 의도적으로 실적을 축소해 주가를 떨어뜨리려고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기도 했다.

한쪽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찾아온 사법 리스크와 삼성물산의 소극적 행보를 연관지어 보는 시선도 나온다.

이 회장은 2017년 2월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 구속 기소되고 2021년 1월 징역2년6개월을 선고받았다가 2022년 8월 특별사면을 받았다. 이 기간 이 회장이 대외적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해 삼성물산이 국내 수주 경쟁에도 뛰어들지 못했다는 것이다. 

삼성물산이 그룹 계열사 물량에 의존하는 구조를 이유로 꼽는 시각도 있다. 삼성물산은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등 그룹 공사 수주가 많아 국내 주택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아도 매출에 큰 타격을 입지 않았다는 것이다. 

2023년 기준 삼성물산의 전체 수주액 19조1천억 원 가운데 삼성전자 수주액은 12조2천억 원으로 약 64%를 차지한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주택 사업 공백기가 생겼던 이유에 대해 “컴플라이언스 등 준법경영을 강조하고 실제 입찰경쟁에서 법을 어기지 않고 실천하기 위해서였다”며 “사업성과 상징성 등 여러 요인을 검토해 선별 수주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김주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