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엔비디아와 협력해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하기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에 참석해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의 면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네이버가 엔비디아와 손잡고 대한민국 제조 산업의 인공지능(AI) 전환에 나선다.

네이버는 31일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의 회동에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해진 의장은 이 자리에서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기업의 데이터 활용을 돕고, 대한민국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네이버클라우드와 엔비디아가 체결한 업무협약(MOU)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두 기업은 현실과 디지털 공간을 정밀하게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 뒤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국가 핵심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 현장의 AI 인프라를 구축한다.

두 기업은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기술, 엔비디아의 3D 시뮬레이션 플랫폼 ‘옴니버스’와 로보틱스 시뮬레이터 ‘아이작 심’을 결합해 실제 산업 환경을 가상공간에 정밀하게 구현한다. 이를 통해 AI가 분석·판단·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산업용 AI 구조를 만들기로 했다. 

네이버는 이번 협력이 네이버가 추진 중인 ‘소버린 AI 2.0’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한 첫 단계라고 강조했다. 

기존 ‘소버린 AI’가 자국 중심의 AI 생태계 조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AI 2.0’은 이를 제조·에너지 등 산업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를 위해 하이퍼클로바 X 오픈소스 공개, 국가 AI 프로젝트 연계,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산업·학계·연구기관 간 협력 생태계 구축을 확대할 방침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AI 기술이 생산성과 안전, 효율을 높이는 ‘피지컬 AI 시대’의 출발점”이라며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역량을 바탕으로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기술을 결합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