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표이사 사장(오른쪽)이 10일(현지시각)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에너지 콘퍼런스 '가스테크'에 참석해 브랜든 듀발 글렌파른 CEO와 알래스카 LNG 예비계약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글렌파른>
한국 포스코인터내셔널을 비롯한 아시아 기업 중심으로 알래스카 사업에 관심을 보이는데 예상보다 비용이 대폭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15일(현지시각) 에너지 전문매체 E&E뉴스에 따르면 알래스카 사업 비용은 당초 예상치인 440억 달러(약 60조6천억 원)보다 최소 수십억 달러가 더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알래스카 사업은 북부 해안가 지역인 노스슬로프에서 남부 니키스키까지 1300㎞에 이르는 파이프라인과 가스 처리, 액화시설을 건설해 LNG를 수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트럼프 정부는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를 상대로 통상 협정 과정에서 관세 인하를 조건으로 LNG 수입과 투자를 요구했다.
이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1일 연간 100만 톤의 LNG를 20년 동안 구매하고 포스코가 가스관용 강관을 공급하는 내용의 예비계약을 맺었다.
일본의 JERA도 10일 알래스카 사업 주 개발사인 글렌파른에 알래스카에서 LNG를 수입하겠다는 구매의향서(LOI)를 전달했다. 글렌파른은 대만 CPC, 태국 PTT 등과도 유사한 합의를 체결했다.
미국 씽크탱크 허드슨연구소의 브리검 맥카운 선임 연구원은 “알래스카 LNG 사업은 난이도가 높고 비용이 많이 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정부는 알래스카 LNG 사업을 행정부 차원에서 적극 밀고 있다. 미 국방부가 알래스카에 운영하는 군기지에서 가스를 구매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도 11일 CNBC 인터뷰에서 “일본의 대미 투자금 5500억 달러(약 758조 원) 가운데 일부를 알래스카 사업에 투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알래스카의 극단적 환경 조건과 인력 부족, 금융 조달 난항 등이 제때 완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시각도 E&E뉴스는 전했다.
더구나 글렌파른이 체결한 협정 대다수가 아직 최종투자결정(FID)에 이르지 못한 만큼 아시아 각국과 협력 발표가 상징적 수준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에너지 부문 자문 회사인 라피단그룹의 알렉스 먼튼 LNG 리서치디렉터는 “지금까지 발표한 합의는 모두 예비적 단계”라며 “2030년대 들어서야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아시아 수요자도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나눈 통화에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와 관련해 20년간 연간 100만 톤 구매 검토와 가스관용 강관 공급을 포함해 상호 구속력이 없는 예비계약(Pre-Agreement)를 11일 체결하고 타당성과 수익성 검토를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