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필름테이프 전문 생산기업인 앤디포스가 코스닥에 상장한다.

윤호탁 앤디포스 대표는 유통업을 하다 특수필름 시장의 사업가능성을 보고 앤디포스를 설립했고 강소기업으로 키워냈다.

◆ 앤디포스, 코스닥 상장

앤디포스가 12일 코스닥에 상장한다.

앤디포스는 윤호탁 대표가 2010년 6월 설립한 기능성 테이프필름 전문생산 기업이다. 앤디포스의 주력제품은 ‘윈도우 필름’과 ‘터치스크린패널(TSP)용 방수양면테이프’다.

  윤호탁, 앤디포스 '강소기업'으로 키워 코스닥 상장  
▲ 윤호탁 앤디포스 대표.
윈도우 건물이나 자동차유리창에 단열이나 결로 기능을 더하기 위해 붙이는 얇은 플라스틱 막이고 TSP용 방수양면테이프는 스마트폰액정과 터치패널스크린 사이에 부착하는 방수기능 양면테이프다.

앤디포스는 설립초기 윈도우 필름 전문업체로 세워졌으나 독자기술을 통해 TSP용 방수양면테이프 개발에 성공하며 제품다각화에 성공했다.

앤디포스의 방수양면테이프는 품질 면에서 세계정상급으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갤럭시 S7에 쓰이는 방수양면테이프의 99%, 애플이 쓰는 방수양면테이프의 50%를 납품하고 있으며 최근 화웨이에도 납품을 시작했다.

윤호탁 대표는 “방수 국제표준 기준이 IPX인데 우리는 IPX8을 달성해 상품화까지 성공한 유일한 기업”이라며 “경쟁사들은 아직 IPX 7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말했다.

앤디포스는 최근 스마트폰 시장에서 방수기능이 강조되면서 급격한 실적성장을 이루고 있다.

매출은 2013년 249억 원, 2014년 464억 원, 2015년 575억 원으로 평균 51.8%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62억 원에서 163억 원으로 늘어났다.

올해 상반기에도 매출은 355억 원, 영업이익은 121억 원을 달성했다.

◆ 윤호탁, 유통업자에서 변신

윤호탁 대표는 중앙대학교 응용통계학과를 졸업하고 연마지연마포 생산회사인 고려연마공업(현 디어포스)에 입사해 전무까지 올랐다.

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말 회사를 나왔고 다보상사를 설립하며 창업전선에 뛰어들었다. 그는 국산 연마제와 기계류를 중국에 유통하며 자금을 모았고 앤텍컴을 인수하며 특수필름 유통으로도 사업을 확장했다.

윤 대표는 특수필름 사업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2010년 앤디포스를 설립하며 제조업에 도전했다. 앤디포스는 차량 유리용 윈도필름을 주력으로 생산하며 수출기업으로 성장했다.

윤 대표는 스마트폰시장의 성장성을 보고 2년 동안 60억 원을 들여 방수테이프를 개발했다. 앤디포스는 2014년 처음 삼성전자와 거래를 시작한 이래 품질을 인정받으며 거래처를 서서히 늘려왔다.

앤디포스는 오포(OPPO)나 비보(VIVO) 등 중국 스마트폰 기업과 거래를 앞두고 있으며 미국 아마존과 전자책단말기사업을 놓고 협의를 하고 있다.

윤 대표는 “앤디포스는 차별화된 기술력 하나로 완벽한 방수기능을 완성한 강소기업”이라며 “코스닥 상장을 계기로 국내최고의 부품소재기업을 넘어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