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은상 신라젠 대표의 지분 대량 매각을 놓고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다.

신라젠의 항암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에 차질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퍼지자 신라젠은 문 대표의 지분매각은 불가피한 사정이 있다고 해명에 진땀을 흘리고 있다.
 
신라젠 주가 롤러코스터, 문은상 왜 주식 1300억어치 매각했나

문은상 신라젠 대표.


신라젠은 5일 홈페이지를 통해 “문 대표의 주식처분은 국세청 세금납부와 채무변제가 목적으로 불가피한 사항”이라며 “악의적 루머에는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신라젠은 4일 장마감 이후 문 대표와 특별관계자 9인 등이 2017년 12월21일부터 올해 1월3일까지 271만3997주를 장내 매도해 보유 지분율이 20.52%에서 16.53%로 3.99%포인트 줄었다고 밝혔다.

문 대표도 지난해 12월26일부터156만2844주를 1주당 평균 8만4815원에 매각해 1325억 원을 현금화했다. 지분율은 8%에서 5% 수준으로 떨어졌다.

문 대표는 신라젠 최대주주이자 대표이사다. 문 대표의 지분 매각이 알려지면서 ‘먹튀’ 의혹도 불거졌다.

투자심리도 크게 위축됐다.

4일 각종 주식커뮤니티를 통해 문 대표의 지분 매각설이 사전에 흘러나오면서 신라젠 주가는 10% 넘게 하락했다.

신라젠이 유럽에서 진행하고 있는 정맥주사 특허 출원에도 실패했고 임상도 중단됐다는 근거없는 소문도 돌았다. 신라젠의 항암바이러스 치료제 ‘펙사벡’은 암세포에 직접 주사하지 않고 정맥 주사로 여러 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신라젠 주가는 5일 오전 8% 넘게 급락하기도 했다.

신라젠은 파문이 확산되자 해명에 나섰다.

신라젠은 이날 “문 대표가 주식 담보대출에 의한 빚과 이자 상환, 신규인수권부사채(BW)와 스톡옵션에서 발생한 증여세 납부 등을 위해 주식을 어쩔 수 없이 매각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유럽에서 정맥주사 특허 출원에 실패했다는 소문과 관련해 신라젠은 “특허 출원과 심사 과정에서 거절은 언제든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할출원, 계속 출원 등 방법으로 특허 권리를 보호할 수 있기에 근거 없는 소문”이라고 주장했다.

신라젠은 “회사의 본질적 가치인 펙사벡 관련 모든 임상과정에는 전혀 이상이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자 신라젠 주가는 이날 다시 급등해 전날보다 7800원(8.46%) 오른 10만 원에 장을 마쳤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문 대표가 납부해야 할 증여세와 빚, 이자 등의 규모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며 “투자자들에게 1325억 원 주식 매각에 대해 추가 해명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