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3주 연속 상승했다.
11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8일 조사 기준 4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3% 올랐다.
부동산원은 “부동산시장 불확실성과 규제 완화 등에 기대감이 있는 상황에서 정주여건 양호하거나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주요 단지 중심으로 상승거래가 발생했다”며 “매수문의도 늘어나며 상승폭이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2% 상승했다.
용산구(0.07%)는 산천·이촌동 대단지 위주로, 마포구(0.07%)는 아현·창전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광진구(0.05%)는 광장·구의동 대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도봉(-0.02%)·노원(-0.01%)·강북구(-0.01%)는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아파트값이 내렸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3% 올랐다.
양천구(0.06%)는 목·신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서초구(0.06%)는 반포·방배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영등포구(0.05%)는 여의도·신길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구로(-0.02%)·금천구(-0.01%)는 거래 및 매수문의 한산한 상황 이어져 값이 하락했다.
4월 둘째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1% 상승했다.
경기 아파트값은 보합세를 보였다.
오산시(0.12%)는 세교·오산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고양 덕양구(0.12%)는 덕은·행신동 준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화성시(0.09%)는 병점·진안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안양 동안구(-0.11%)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호계·비산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고양 일산동구(-0.08%)는 식사·풍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이천시(-0.08%)는 송정동·부발읍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2% 상승했다.
중구(0.07%)는 중산·신흥동 중소형 규모 아파트 단지 위주로, 미추홀구(0.07%)는 주안·도화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연수구(0.04%)는 동춘·송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부평구(0.04%)는 삼산·부평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서구(-0.03%)는 청라·가좌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4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1% 내렸다.
시도별로는 제주(-0.06%), 부산(-0.06%), 경남(-0.05%), 대전(-0.04%), 대구(-0.04%), 전북(-0.03%) 등에서 아파트값이 빠졌고 경북(0.01%)은 상승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59곳으로 6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15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5곳 증가했다. 하락지역은 104곳으로 지난주와 견줘 11곳 줄었다. 류수재 기자
11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8일 조사 기준 4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3% 올랐다.

▲ 서울 아파트값이 3주 연속 올랐다. 사진은 서울 지역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부동산원은 “부동산시장 불확실성과 규제 완화 등에 기대감이 있는 상황에서 정주여건 양호하거나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주요 단지 중심으로 상승거래가 발생했다”며 “매수문의도 늘어나며 상승폭이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2% 상승했다.
용산구(0.07%)는 산천·이촌동 대단지 위주로, 마포구(0.07%)는 아현·창전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광진구(0.05%)는 광장·구의동 대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도봉(-0.02%)·노원(-0.01%)·강북구(-0.01%)는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아파트값이 내렸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3% 올랐다.
양천구(0.06%)는 목·신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서초구(0.06%)는 반포·방배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영등포구(0.05%)는 여의도·신길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구로(-0.02%)·금천구(-0.01%)는 거래 및 매수문의 한산한 상황 이어져 값이 하락했다.
4월 둘째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1% 상승했다.
경기 아파트값은 보합세를 보였다.
오산시(0.12%)는 세교·오산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고양 덕양구(0.12%)는 덕은·행신동 준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화성시(0.09%)는 병점·진안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안양 동안구(-0.11%)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호계·비산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고양 일산동구(-0.08%)는 식사·풍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이천시(-0.08%)는 송정동·부발읍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2% 상승했다.
중구(0.07%)는 중산·신흥동 중소형 규모 아파트 단지 위주로, 미추홀구(0.07%)는 주안·도화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연수구(0.04%)는 동춘·송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부평구(0.04%)는 삼산·부평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서구(-0.03%)는 청라·가좌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4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1% 내렸다.
시도별로는 제주(-0.06%), 부산(-0.06%), 경남(-0.05%), 대전(-0.04%), 대구(-0.04%), 전북(-0.03%) 등에서 아파트값이 빠졌고 경북(0.01%)은 상승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59곳으로 6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15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5곳 증가했다. 하락지역은 104곳으로 지난주와 견줘 11곳 줄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