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라코리아 주가가 오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신발시장이 확대돼 하반기에도 실적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휠라코리아 목표주가를 9만5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13일 휠라코리아 주가는 6만51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휠라코리아는 2분기에 매출 9593억 원, 영업이익 1449억 원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2018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21.4%, 영업이익은 25.3% 늘어났다.
이 연구원은 “패션 아이템 가운데 신발을 향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한국 신발(운동화)시장은 연간 두 자릿수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휠라코리아 시장 점유율도 함께 높아지고 있어 당분간 성장성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불매운동이 휠라코리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최근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하면서 ‘편집숍’에서 일본 브랜드와 함께 판매되는 국내제품까지 불매운동의 대상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편집숍은 2개 이상 브랜드를 다루는 매장을 말한다.
이 연구원은 “휠라코리아 신발부문에서 편집숍 매출비중은 20~30% 수준으로 크지 않다”며 “일본 브랜드를 쓰지 않는 고객들이 대신 국내 브랜드를 다루는 편집숍을 방문하는 현상을 고려하면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휠라코리아는 2019년에 매출 3조4531억 원, 영업이익 4562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 실적보다 매출은 16.9%, 영업이익은 27.7%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국내 신발시장이 확대돼 하반기에도 실적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 윤근창 휠라코리아 대표이사 사장.
이지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휠라코리아 목표주가를 9만5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13일 휠라코리아 주가는 6만51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휠라코리아는 2분기에 매출 9593억 원, 영업이익 1449억 원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2018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21.4%, 영업이익은 25.3% 늘어났다.
이 연구원은 “패션 아이템 가운데 신발을 향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한국 신발(운동화)시장은 연간 두 자릿수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휠라코리아 시장 점유율도 함께 높아지고 있어 당분간 성장성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불매운동이 휠라코리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최근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하면서 ‘편집숍’에서 일본 브랜드와 함께 판매되는 국내제품까지 불매운동의 대상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편집숍은 2개 이상 브랜드를 다루는 매장을 말한다.
이 연구원은 “휠라코리아 신발부문에서 편집숍 매출비중은 20~30% 수준으로 크지 않다”며 “일본 브랜드를 쓰지 않는 고객들이 대신 국내 브랜드를 다루는 편집숍을 방문하는 현상을 고려하면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휠라코리아는 2019년에 매출 3조4531억 원, 영업이익 4562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 실적보다 매출은 16.9%, 영업이익은 27.7%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