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영 한국석유공사 사장이 노조와 협력을 강화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이명박 정권 이후 석유공사를 이끈 민간출신 사장들은 노조와 갈등을 겪으며 경영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런 일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28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양 사장은 27일 김병수 석유노조 위원장과 ‘국민신뢰 회복을 위한 노사 공동 선언문’을 채택하고 울산 본사에서 취임식을 열었다.
양 사장은 22일 제13대 석유공사 사장에 취임했는데 그동안 노조의 반대로 취임식을 열지 못했다.
노사는 공동 선언문을 통해 △공공성을 최우선 가치로 하는 경영원칙 수립 △공사개혁위원회(가칭) 설립을 통한 해외자원외교의 원인과 책임 규명 △노사공동위원회 운영을 통한 의사결정의 투명성 확보 △사람을 존중하는 인사운영을 통한 신뢰구축 △미래가치 없는 자산의 신속한 정리 △노사 합의없는 인위적 구조조정 불가 등 6가지 사항을 담았다.
양 사장은 취임사에서 “재무구조 개선을 통한 회사의 정상화, 새 성장동력 발굴, 기업문화 개선 등 3가지 사항에 경영역량을 집중하겠다”며 “건전한 노사관계를 정립하겠다”고 말했다.
양 사장은 대우인터내셔널(현 포스코대우)에서 에너지자원실장, 자원개발본부 부사장 등을 지낸 민간기업 출신이다. 노조가 양 사장의 취임을 반대한 데는 민간출신이라는 점도 영향을 끼쳤다.
노조는 양 사장 취임에 앞서 성명서를 통해 “석유공사는 민간기업 출신 사장이 임명돼 단 한 차례도 성공한 경험이 없다”며 “민간출신 사장은 그동안 수익 관점에서만 사업을 추진해 막대한 부작용을 양산했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양 사장은 과거 대우인터내셔널에서 강영원 전 석유공사 사장과 자원개발파트에서 함께 일한 전력이 있는데 노조는 이 점을 들어 더 거부감을 보였다.
강영원 전 사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석유공사를 이끌며 캐나다 하베스트 인수 등 무리한 해외자원개발 사업으로 석유공사의 부실을 초래했다고 노조는 보고 있다.
강 전 사장은 해외 자원개발사업 등을 통해 석유공사의 외형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노조와 갈등을 겪었고 이 과정에서 배임 혐의로 현재도 재판을 받고 있다.
박근혜 정부에서 임명된 현대중공업 사장 출신인 김정래 전 사장도 석유공사에서 고난의 행군을 했다.
김정래 전 사장은 2016년 취임 뒤 석유공사에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했으나 채용비리 의혹 등이 불거지며 노조와 극심한 갈등을 겪었고 결국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2017년 10월 스스로 물러났다.
김 전 사장은 2017년 7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공공부문노조 공동대책위원회가 선정한 10명의 적폐기관장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석유공사 노조 관계자는 “양 사장과 소통을 통해 석유공사 개혁과 발전방향과 관련해 일정 부분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공동선언문을 기반으로 한 노사 협력이 석유공사의 정상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
이명박 정권 이후 석유공사를 이끈 민간출신 사장들은 노조와 갈등을 겪으며 경영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런 일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 양수영 한국석유공사 사장.
28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양 사장은 27일 김병수 석유노조 위원장과 ‘국민신뢰 회복을 위한 노사 공동 선언문’을 채택하고 울산 본사에서 취임식을 열었다.
양 사장은 22일 제13대 석유공사 사장에 취임했는데 그동안 노조의 반대로 취임식을 열지 못했다.
노사는 공동 선언문을 통해 △공공성을 최우선 가치로 하는 경영원칙 수립 △공사개혁위원회(가칭) 설립을 통한 해외자원외교의 원인과 책임 규명 △노사공동위원회 운영을 통한 의사결정의 투명성 확보 △사람을 존중하는 인사운영을 통한 신뢰구축 △미래가치 없는 자산의 신속한 정리 △노사 합의없는 인위적 구조조정 불가 등 6가지 사항을 담았다.
양 사장은 취임사에서 “재무구조 개선을 통한 회사의 정상화, 새 성장동력 발굴, 기업문화 개선 등 3가지 사항에 경영역량을 집중하겠다”며 “건전한 노사관계를 정립하겠다”고 말했다.
양 사장은 대우인터내셔널(현 포스코대우)에서 에너지자원실장, 자원개발본부 부사장 등을 지낸 민간기업 출신이다. 노조가 양 사장의 취임을 반대한 데는 민간출신이라는 점도 영향을 끼쳤다.
노조는 양 사장 취임에 앞서 성명서를 통해 “석유공사는 민간기업 출신 사장이 임명돼 단 한 차례도 성공한 경험이 없다”며 “민간출신 사장은 그동안 수익 관점에서만 사업을 추진해 막대한 부작용을 양산했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양 사장은 과거 대우인터내셔널에서 강영원 전 석유공사 사장과 자원개발파트에서 함께 일한 전력이 있는데 노조는 이 점을 들어 더 거부감을 보였다.
강영원 전 사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석유공사를 이끌며 캐나다 하베스트 인수 등 무리한 해외자원개발 사업으로 석유공사의 부실을 초래했다고 노조는 보고 있다.
강 전 사장은 해외 자원개발사업 등을 통해 석유공사의 외형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노조와 갈등을 겪었고 이 과정에서 배임 혐의로 현재도 재판을 받고 있다.
박근혜 정부에서 임명된 현대중공업 사장 출신인 김정래 전 사장도 석유공사에서 고난의 행군을 했다.
김정래 전 사장은 2016년 취임 뒤 석유공사에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했으나 채용비리 의혹 등이 불거지며 노조와 극심한 갈등을 겪었고 결국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2017년 10월 스스로 물러났다.
김 전 사장은 2017년 7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공공부문노조 공동대책위원회가 선정한 10명의 적폐기관장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석유공사 노조 관계자는 “양 사장과 소통을 통해 석유공사 개혁과 발전방향과 관련해 일정 부분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공동선언문을 기반으로 한 노사 협력이 석유공사의 정상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