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보였다. 미국 4월 물가지표 둔화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정책에 신중한 태도를 보인 영향이 반영됐다.
국제유가는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해 상승했다.
현지시각으로 17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직전 거래일보다 134.21포인트(0.34%) 오른 4만3.59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17포인트(0.12%) 상승한 5303.2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35포인트(0.07%) 내린 1만6685.97에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이날 장중 혼조세를 보이다 장 마감 직전 4만 선 위로 올라섰다. 장 마감 기준으로는 역대 처음으로 4만 선을 넘긴 것이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최근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한 월마트 주가가 1% 오르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미국 물가지표 상승세가 둔화한 점도 지수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4% 상승했다. 3월 상승률 3.5%에서 소폭 둔화한 것이다.
계절적 변동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등 가격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4월 대비 3.6% 상승했다. 역시 3월 상승률이던 3.8%보다 낮아졌다.
다만 미국 연준 인사들이 물가 흐름을 두고 안심할 수 없다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내비치고 있어 혼조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됐다.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17일(현지시각)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면서 “지난해에는 인플레이션 둔화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올해는 아직 더 이상의 진전이 없다”고 말했다.
국제유가는 상승세를 보였다.
17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인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직전 거래일보다 1.05%(0.83달러) 상승한 배럴당 80.0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선물거래소의 7월물 브렌트유는 0.85%(0.71달러) 오른 83.98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유가는 4월30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중국 경제지표 회복에 따라 원유 수요가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조혜경 기자
국제유가는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해 상승했다.

▲ 현지시각으로 17일 뉴욕증시 주요지수가 혼조세를 보였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자료를 살펴보는 모습. <연합뉴스>
현지시각으로 17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직전 거래일보다 134.21포인트(0.34%) 오른 4만3.59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17포인트(0.12%) 상승한 5303.2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35포인트(0.07%) 내린 1만6685.97에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이날 장중 혼조세를 보이다 장 마감 직전 4만 선 위로 올라섰다. 장 마감 기준으로는 역대 처음으로 4만 선을 넘긴 것이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최근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한 월마트 주가가 1% 오르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미국 물가지표 상승세가 둔화한 점도 지수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4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4% 상승했다. 3월 상승률 3.5%에서 소폭 둔화한 것이다.
계절적 변동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등 가격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4월 대비 3.6% 상승했다. 역시 3월 상승률이던 3.8%보다 낮아졌다.
다만 미국 연준 인사들이 물가 흐름을 두고 안심할 수 없다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내비치고 있어 혼조세를 보인 것으로 풀이됐다.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17일(현지시각)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면서 “지난해에는 인플레이션 둔화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올해는 아직 더 이상의 진전이 없다”고 말했다.
국제유가는 상승세를 보였다.
17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인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직전 거래일보다 1.05%(0.83달러) 상승한 배럴당 80.0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선물거래소의 7월물 브렌트유는 0.85%(0.71달러) 오른 83.98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유가는 4월30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중국 경제지표 회복에 따라 원유 수요가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