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Who] 윤석열, 조국 수사는 엄정 법집행 의지인가 검찰 보호인가](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1909/20190906150034_73666.jpg)
▲ 윤석열 검찰총장이 5일 오후 점심 식사를 위해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구내식당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살아있는 권력에도 굴하지 않고 엄정한 법집행의 칼날을 휘두르겠다는 의지로 읽히는 동시에 임박한 검찰개혁 앞에서 검찰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시선도 있다.
6일 검찰은 조 후보자의 가족이 투자한 사모펀드 운용사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PE)의 이상훈 대표를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사모펀드가 투자한 회사 대표를 피의자로 전환해 조사하는 한편 조 후보자 가족이 예금계좌를 보유한 한국투자증권을 압수수색하는 등 사모펀드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데 속도를 내고 있다.
조 후보자의 딸 입시 관련 의혹도 살펴본다. 5일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소환조사하고 4일에는 총장상 허위발급 의혹 관련 최성해 동양대 총장도 참고인으로 조사했다. 관련 압수수색만 20~30건으로 제기된 의혹들에 전방위적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
윤 총장은 조 후보자 관련 수사를 위한 충분한 명분을 갖췄다. 당장 윤 총장이 취임할 때부터 임명권자인 문재인 대통령이 “살아있는 권력도 엄정하게 수사하라”고 지시했다.
조 후보자는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뒤 법무부 장관 후보로 지명돼 문재인 정부의 핵심인사로 여겨진다. 문 대통령이 말한 ‘살아있는 권력’에 해당하는 인물로 봐도 무방하기 때문에 윤 총장의 수사는 문 대통령의 지시를 충실히 이행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조 후보자 역시 2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이 법과 증거에 따라 수사를 전개할 거라고 생각한다”며 “취임해도 관련 수사를 보고하지 말라고 지시할 것”이라고 말해 윤 총장의 수사를 수긍하는 모습을 보였다.
윤 총장의 취임 일성과도 일치한다. 윤 총장은 취임사에서 “공정한 경쟁 질서를 무너뜨리는 범죄에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후보자를 향한 의혹의 대다수가 경제·사회적 기득권층으로서 편법으로 유리한 기회를 얻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수사하는 일은 윤 총장의 형사 법집행 방향과 일치하는 셈이다.
하지만 윤 총장의 행보를 놓고 검찰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적지 않다. 윤 총장은 과거 항명 파동이 일어났을 때 “조직을 사랑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
조 후보자는 청와대 민정수석 시절 검경수사권 조정안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안 등 검찰개혁안을 주도적으로 마련했다. 6일 열린 청문회에서도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에서 검찰개혁이 가장 중요하다”며 “부족하지만 제가 잘 할 수 있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조 후보자가 장관에 오르면 이미 국회에 올라 있는 검찰개혁법안 외에도 법무부의 탈검찰화 등 개혁안이 강도 높게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 윤 총장이 이에 대응하기 위해 조 후보자 가족 수사로 향후 국면에서 주도권을 잡으려고 보는 시각이 나온다.
김민웅 경희대 미래문명원 교수는 4일 올린 페이스북 글에서 “윤 총장은 검찰개혁이 아닌 검찰조직 보호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 총장이 ‘조국 내정자에 관해 검찰 내부의 구속수사 요구가 많다, 이런 상황을 몰고 온 조국에게 분노가 치민다’는 발언을 했고 직접 들은 이들이 발언을 퍼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살아있는 권력’을 향한 수사로 검찰을 개혁해야 한다는 여론을 누그러뜨릴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검찰의 중립성과 독립성을 증명할 수 있는 계기이기 때문이다.
윤 총장이 대검찰청 입장문을 통해 청와대의 수사 개입에 우려의 목소리를 낸 것 역시 검찰의 확고한 독립성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읽힌다.
대검찰청은 5일 청와대 관계자가 조 후보자 딸의 표창장 위조 의혹에 위조가 아니라는 취지로 언론 인터뷰를 한 것을 놓고 “청와대 수사 개입으로 비칠 우려가 있어 매우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