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경쟁력포럼] 두산에너빌리티 풍력사업 박지웅 "한국형 표준 해상풍력 발전 추진해야"](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7/M_20250701171559_215538.jpg)
▲ 박지웅 두산에너빌리티 풍력영업1팀 팀장이 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기후경쟁력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지웅 두산에너빌리티 풍력영업1팀 팀장은 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기후경쟁력포럼에서 "한국 풍력발전 시장 개발과 산업 육성을 위한 근본적 정책과 제도 정비가 절실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박 팀장은 두산에너빌리티의 풍력사업 현황을 소개하면서 정책 관련 제언을 내놨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05년 풍력발전사업에 뛰어든 뒤 지속적 연구 투자와 단계적 사업 육성으로 2010년 아시아 최초로 해상풍력발전기를 개발했다.
현재 부품 국산화율을 70%까지 늘리고 세계 최고 수준 기술이 적용된 블레이드를 개발하는 등 국내 해상풍력 시장 개척과 고용 창출을 이뤄냈다.
박 팀장은 해상풍력발전의 산업 유발 효과와 전 세계 풍력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해상풍력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융합된 복합 에너지 산업으로 기계, 전기산업, 정보통신, 해양플랜트, 조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유발효과가 기대된다”며 “2023년 1TW 수준이었던 글로벌 누적 풍력시장 규모도 2030년 2TW를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풍력발전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 제도 정비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풍력발전의 일부를 공공 시장으로 조성해 마중물을 부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팀장은 “우리나라는 풍력발전시장 형성 초기단계라 비용이 높을 수 밖에 없다”며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해 비용이 낮아지기 위해서는 해상풍력특별법을 중심으로 산재된 정책과 제도가 통합돼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공공 참여를 확대하고 시장 일부를 정책적 공공 시장으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구체적 실행방안으로는 △실증단지 조성 적극 활용과 집적화 단지 발굴 △국내 공급망 참여 기회 제공과 인센티브 발굴 △국내 산업 경쟁력 확보와 에너지안보 확립 등을 꼽았다.
박 팀장은 “국내 현실을 정확히 진단한 뒤 추진 체계를 수립하고, 표준화를 통한 양산체제 구축과 원가 절감 추진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열린 기후경쟁력포럼은 ‘성장을 위한 전환: 재생에너지 혁신의 마지막 기회’를 주제로 비즈니스포스트와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이 주최했다.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국회ESG포럼이 후원에 참여했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