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크래프톤이 인공지능(AI)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하며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기로 했다.

크래프톤은 23일 사내 소통 프로그램 ‘크래프톤 라이브 토크’를 통해 ‘AI 퍼스트 기업으로의 전환’를 주제로 중장기 비전과 로드맵을 공개했다. 
 
크래프톤 'AI 중심' 경영전환 위해 1천억 투자, 김창한 "AI 퍼스트 기업 될 것"

▲ 크래프톤은 23일 인공지능(AI) 기업으로 전환을 주제로 중장기 비전과 로드맵을 공개했다. <크래프톤>


김창한 대표는 “오늘을 기점으로 크래프톤은 에이젠틱 AI를 중심으로 업무를 자동화하고 구성원은 창의적 활동과 복잡한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AI 중심 경영 체계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AI 퍼스트’ 전략은 AI를 문제 해결의 중심에 두고 개인과 조직의 생산성을 높여 기업가치 성장을 가속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크래프톤은 약 1천억 원을 투입해 GPU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고도화된 추론과 계획이 필요한 다단계 과제 수행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마련한다. 해당 인프라는 AI 워크플로 자동화, AI 연구개발, 인게임 AI 서비스 강화를 위한 기반으로 활용된다. 

크래프톤은 2026년 하반기까지 AI 플랫폼과 데이터 통합·자동화 기반을 완성해 전사적 AI 운영 체계를 확립한다.

또 2026년부터 매년 약 300억 원을 편성해 구성원들이 다양한 AI 툴을 직접 활용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기존 AI 투자 규모의 1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회사는 ‘AI 퍼스트’ 내재화를 위해 인사제도와 조직운영 체계도 개편한다. 관련 제도와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기존 정책도 AI 중심으로 재정비한다. 

크래프톤은 사내 ‘AI 러닝 허브'를 통해 AI 학습과 실무 도구 활용을 지원하고 ‘AI 라운드테이블’과 ‘AI 해커톤’을 통해 직군 간 학습과 협업 문화를 확산한다. 

 AI 기반 자동화를 통해 확보한 리소스를 신작 개발 및 혁신 프로젝트에 재투자함으로써 구성원의 역할 확장과 창의적 도전을 장려한다.

김창한 대표는 “AI 퍼스트 전략을 통해 구성원 개개인의 성장 기회를 넓히고, 플레이어 경험 중심의 창의적 시도를 확대하겠다”며 “AI 중심의 운영 기준을 확립해 글로벌 게임 산업에서 참고할 수 있는 모범사례를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