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주가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해외와 국내에서 좋은 수주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김선미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현대건설 목표주가 6만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12일 현대건설 주가는 4만905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현대건설은 해외와 국내에서 수주를 계속 따내고 있다”며 “건설업종 가운데 최선호주”라고 분석했다.
현대건설은 10일 3조2천억 원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 마르잔 해상유전 패키지6과 패키지12 수주에 성공했다.
연간 누적기준(YTD)으로 해외수주 규모 5조 원 이상을 내며 1년 해외수주 목표인 11조 원의 45%를 달성했다.
하반기에는 알제리 복합화력(8억 달러), 콜롬비아 보고타 메트로(25억 달러), 인도네시아 수력 발전소(4억 달러), 필리핀·싱가폴 매립공사(15억 달러), 카타르·쿠웨이트 종합병원(50억 달러) 등 수주도 추진한다.
국내에서도 좋은 수주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연간 누적기준(YTD)으로 신규수주 6조 원, 분양 3천 세대를 보였다.
김 연구원은 “일반분양은 적지만 대구 도남지구와 같은 민간참여형 공공개발사업 실적이 늘어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용현·학익 도시개발사업(지분 8천억 원), 부천 영상단지(5천억 원) 등 입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불안정한 주택시장 안에서도 국내수주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김 연구원은 “민간택지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가 도입될 수 있지만 이미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현장에까지 분양가 상한제를 확대 적용하지 않는 한 현대건설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서울 주택공급 절벽, 조합원 재산권 등을 고려했을 때 분양가 상한제 적용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현대건설은 2019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6조5480억 원, 영업이익 956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18년보다 매출은 1.09% 줄지만 영업이익은 13.8%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
해외와 국내에서 좋은 수주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 박동욱 현대건설 설 대표이사 사장.
김선미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현대건설 목표주가 6만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12일 현대건설 주가는 4만905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현대건설은 해외와 국내에서 수주를 계속 따내고 있다”며 “건설업종 가운데 최선호주”라고 분석했다.
현대건설은 10일 3조2천억 원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 마르잔 해상유전 패키지6과 패키지12 수주에 성공했다.
연간 누적기준(YTD)으로 해외수주 규모 5조 원 이상을 내며 1년 해외수주 목표인 11조 원의 45%를 달성했다.
하반기에는 알제리 복합화력(8억 달러), 콜롬비아 보고타 메트로(25억 달러), 인도네시아 수력 발전소(4억 달러), 필리핀·싱가폴 매립공사(15억 달러), 카타르·쿠웨이트 종합병원(50억 달러) 등 수주도 추진한다.
국내에서도 좋은 수주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연간 누적기준(YTD)으로 신규수주 6조 원, 분양 3천 세대를 보였다.
김 연구원은 “일반분양은 적지만 대구 도남지구와 같은 민간참여형 공공개발사업 실적이 늘어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용현·학익 도시개발사업(지분 8천억 원), 부천 영상단지(5천억 원) 등 입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불안정한 주택시장 안에서도 국내수주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김 연구원은 “민간택지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가 도입될 수 있지만 이미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현장에까지 분양가 상한제를 확대 적용하지 않는 한 현대건설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서울 주택공급 절벽, 조합원 재산권 등을 고려했을 때 분양가 상한제 적용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현대건설은 2019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6조5480억 원, 영업이익 956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18년보다 매출은 1.09% 줄지만 영업이익은 13.8%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