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 정부의 한국 단체관광 규제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중국 노선의 정상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김영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27일 아시아나항공 목표주가 4600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26일 아시아나항공 주가는 4445원에 장을 마쳤다.
아시아나항공은 중국 정부의 한국 단체관광 제한 규제가 완화하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은 국내 항공사 가운데 중국 노선의 매출 비중이 가장 커 투자자들의 관심이 중국 노선 정상화에 쏠려 있다”며 “최근 중국 대형 온라인여행사 홈페이지에 한국 단체관광상품이 잠깐 등장하는 등 중국 정부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보복정책의 완화 가능성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바라봤다.
김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이 점진적으로 중국 노선을 다시 운항하면서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국제유가가 떨어지면서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이 모회사와 자회사의 역할을 분담하는 전략도 적절한 것으로 평가됐다.
아시아나항공은 항공자회사 에어부산, 에어서울을 거느리고 있는데 이 두 회사를 통해 단거리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장거리 노선에 집중하면서 2020년까지 장거리 노선 비중을 전체의 60%까지 늘리겠다는 방침을 정해놨다.
김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이 자회사는 단거리에, 모회사는 장거리에 집중하는 ‘투 트랙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된다”고 바라봤다.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6조7850억 원, 영업이익 2530억 원 낼 것으로 추산됐다. 2017년보다 매출은 9.0% 늘지만 영업이익은 8.3% 줄어드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중국 정부의 한국 단체관광 규제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중국 노선의 정상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 한창수 아시아나항공 대표이사 사장.
김영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27일 아시아나항공 목표주가 4600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26일 아시아나항공 주가는 4445원에 장을 마쳤다.
아시아나항공은 중국 정부의 한국 단체관광 제한 규제가 완화하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은 국내 항공사 가운데 중국 노선의 매출 비중이 가장 커 투자자들의 관심이 중국 노선 정상화에 쏠려 있다”며 “최근 중국 대형 온라인여행사 홈페이지에 한국 단체관광상품이 잠깐 등장하는 등 중국 정부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보복정책의 완화 가능성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바라봤다.
김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이 점진적으로 중국 노선을 다시 운항하면서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국제유가가 떨어지면서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이 모회사와 자회사의 역할을 분담하는 전략도 적절한 것으로 평가됐다.
아시아나항공은 항공자회사 에어부산, 에어서울을 거느리고 있는데 이 두 회사를 통해 단거리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장거리 노선에 집중하면서 2020년까지 장거리 노선 비중을 전체의 60%까지 늘리겠다는 방침을 정해놨다.
김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이 자회사는 단거리에, 모회사는 장거리에 집중하는 ‘투 트랙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된다”고 바라봤다.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6조7850억 원, 영업이익 2530억 원 낼 것으로 추산됐다. 2017년보다 매출은 9.0% 늘지만 영업이익은 8.3% 줄어드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