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고려아연과 LG화학이 함께 설립한 고려아연의 2차전지 소재사업 핵심 계열사인 한국전구체주식회사(KPC)가 2차전지 양극재의 핵심 원료인 전구체 양산에 본격 돌입했다.
2022년 8월 고려아연이 자회사 켐코를 통해 LG화학과 약 2천억 원을 투자해 설립한 합작법인 한국전구체주식회사는 지난해 3월 연간 2만 톤 규모의 공장을 완공했다.
이후 생산된 시제품을 고객사에 공급해 품질 검증을 받는 등 절차를 마치고 본격 양산 체제에 들어간 것이다.
올해 상반기 첫 양산과 함께 생산능력을 점진적으로 늘려 하반기부터는 최대 생산 체제로 가동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2차전지 기업들은 그간 중국산 전구체에 거의 의존해왔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국내 전구체의 대중 수입 의존도는 97%에 달한다.
원가경쟁력 측면에서 중국 기업들이 월등한 우위를 보이며 대중국 의존도가 갈수록 심화한 것이다.
전구체는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의 전 단계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섞은 일종의 화합물이다. 전구체에 리튬을 더하면 양극재가 된다. 전구체는 양극재 제조원가의 약 60%를 차지하는데, 양극재는 배터리 제조원가의 약 40%를 차지한다.
한국전구체는 고객사 요청이 가장 많은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하이니켈 전구체’는 전구체의 니켈 비중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려 에너지 밀도와 출력을 높일 수 있다.
고려아연의 ‘리튬이차전지 니켈(Ni) 함량 80% 초과 양극 활물질 전구체 제조 및 공정기술’은 지난해 11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국가핵심기술 및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되기도 했다.
회사 측은 세계 최대 용량의 반응기를 구축함과 동시, 고려아연 제련기술을 접목한 리사이클링 신공정을 도입해 전구체 생산량을 극대화하고 원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도은 기자
2022년 8월 고려아연이 자회사 켐코를 통해 LG화학과 약 2천억 원을 투자해 설립한 합작법인 한국전구체주식회사는 지난해 3월 연간 2만 톤 규모의 공장을 완공했다.
▲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한국전구체주식회사 전경. <고려아연>
이후 생산된 시제품을 고객사에 공급해 품질 검증을 받는 등 절차를 마치고 본격 양산 체제에 들어간 것이다.
올해 상반기 첫 양산과 함께 생산능력을 점진적으로 늘려 하반기부터는 최대 생산 체제로 가동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2차전지 기업들은 그간 중국산 전구체에 거의 의존해왔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국내 전구체의 대중 수입 의존도는 97%에 달한다.
원가경쟁력 측면에서 중국 기업들이 월등한 우위를 보이며 대중국 의존도가 갈수록 심화한 것이다.
전구체는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의 전 단계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섞은 일종의 화합물이다. 전구체에 리튬을 더하면 양극재가 된다. 전구체는 양극재 제조원가의 약 60%를 차지하는데, 양극재는 배터리 제조원가의 약 40%를 차지한다.
한국전구체는 고객사 요청이 가장 많은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 ‘하이니켈 전구체’는 전구체의 니켈 비중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려 에너지 밀도와 출력을 높일 수 있다.
고려아연의 ‘리튬이차전지 니켈(Ni) 함량 80% 초과 양극 활물질 전구체 제조 및 공정기술’은 지난해 11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국가핵심기술 및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되기도 했다.
회사 측은 세계 최대 용량의 반응기를 구축함과 동시, 고려아연 제련기술을 접목한 리사이클링 신공정을 도입해 전구체 생산량을 극대화하고 원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도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