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민 원자력안전위원장이 물러났다. 과거 원자력 연구비 수령으로 자격 논란이 일어 발목이 잡혔다.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강정민 원자력안전위원장은 사직서를 제출했고 수리됐다.
 
강정민 원자력안전위원장 사직, 원자력 연구비 받은 논란에 낙마

▲ 강정민 전 원자력안전위원장.


강 전 위원장은 이날 열리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하지 않는다.

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처장이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아 국정감사에 참석한다.

강 전 위원장은 12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자격 결격 논란에 휘말리고 연구비 유용과 횡령 의혹까지 제기됐다.

강 전 위원장은 2018년 1월 위원장에 올랐는데 10개월 만에 사직하게 됐다. 임기 3년 가운데 1년도 채우지 못했다.

최연혜 자유한국당 의원에 따르면 강 전 위원장은 2015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초빙교수로 활동하면서 원자력연구원에서 위탁받은 과제에 참여하고 274만 원의 연구비를 받았다.

원자력안전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최근 3년 안으로 원자력 이용자나 원자력 이용단체의 사업에 관여했으면 위원 결격 사유에 해당하고 당연 퇴직하는 것으로 규정돼 있다.

이에 대해 강 전 위원장은 “원자력연구원 위탁 과제를 한 적이 없다”며 “이름이 올라가 있었는지 확인해보고 있다”고 대답했다.

위탁 과제를 한 적 없는 것이 사실이라면 간접적 연관성을 빌미로 출장비 274만 원을 받은 것은 연구비 유용에 횡령에 해당한다는 지적까지 나왔다.

강 전 위원장은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석사학위를 딴 뒤 일본 도쿄대학교 시스템양자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대학원(SAIS) 객원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원,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초빙교수, 미국 천연자원보호위원회(NRDC) 선임연구위원 등을 지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