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9년 3월23일 촬영된 트랜스 알라스카 파이프라인. 북극해 인접 프루드베이부터 항구도시 발데즈까지 알래스카를 종단한다. <플리커>
알래스카 LNG 개발은 한·미 관세 협상에 주요 의제로 부상한 프로젝트로 개발사는 한국 기업이 지분투자 형태로 참여할 가능성까지 열어둔 것으로 보인다.
개발사 글렌파른의 브렌던 듀발 최고경영자(CEO)는 20일(현지시각)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 지분참여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고 CNBC가 보도했다.
글렌파른은 민간 투자기업 자격으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업체다.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가 3월 19일~30일 아시아 각국을 방문했던 당시에도 순방단 일원으로 동행했다.
당시 순방단은 SK와 한화, 포스코, 세아 등 철강 및 에너지 기업 최고경영진과 회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 고위급 관료도 3월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순방단을 만나 면담을 진행했다.
이런 상황에서 프로젝트 개발사 기업 대표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지분투자 방식으로도 LNG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내비친 것이다.
브렌던 듀발 CEO는 “대만중유(CPC)가 600만 톤의 알래스카 LNG 구매 의향서에 서명하고 직접 투자 게획을 제안했다”며 “인도나 태국도 관심을 보이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알래스카 LNG는 북극권 노스슬로프에서 남부 니키스키까지 1300㎞에 이르는 파이프라인과 가스 처리·액화시설을 건설하는 400억 달러(약 57조 원) 규모의 프로젝트다.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가 사업 주체를 맡았으며 글렌파른이 1월 민간 투자자로 참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 사업을 미국의 전략적 우선 과제로 지정하고 한국과 일본에 공동 투자와 대규모 LNG 구매를 압박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기업이 자국 개발은행에 금융지원 가능성을 문의했었다는 내용도 거론됐다.
다만 CNBC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두고 건설비가 막대하고 최소 5년이라는 기간이 필요해 사업성이 낮다는 전문가 견해도 덧붙였다.
트럼프 정부가 알래스카 LNG를 아시아 국가를 상대로 무역 협상용 카드로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조사업체 라피단에너지의 밥 맥널리 회장은 “트럼프 정부가 LNG 수출로 한국과 일본 및 대만을 압박하고 있다는 사실은 명백하다”라고 말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