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반도를 관통하는 파이프라인 제안도.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가스관 건설을 위해 중동산 액화천연가스(LNG) 도입 물량을 미국산으로 돌릴 필요성이 제기됐다.
박영훈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7일 “한반도를 관통하는 가스관 건설은 남북한에 모두 긍정적”이라면서도 “LNG 수출 증가를 원하는 미국 이익에 반할 수 있어 성사 여부를 확신할 수 없다”고 바라봤다.
박 연구원은 “한국의 연간 LNG 수입량 중 3분의 1 수준을 파이프라인 가스(PNG)로 도입되면 가스 구입에만 연간 10조4천억 원 수준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남한과 북한, 미국이 종전 선언과 평화협정을 체결하면 한반도를 관통하는 가스관이 건설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평양에 가스관이 지나도록 해 북한도 가스를 공급받게 하면 계약 변경이나 차단 등의 조치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진다.
또 박 연구원은 “러시아는 수요 정체를 보이는 유럽시장보다 빠르게 수요가 증가하는 아시아시장에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러시아의 가스관 투자 의지는 매우 확고하다”고 파악했다.
다만 미국이 LNG 수출을 늘리려고 해 한반도 가스관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은 2200만 톤의 LNG 수출설비를 보유하고 있고 건설 중인 설비도 6천만 톤 규모에 이른다. 여기에 수출 승인을 받았으나 건설하지 않은 설비는 미국에 5천만 톤, 캐나다에 5천만 톤 수준이다.
러시아와 독일 사이에 가스를 공급하는 Nord Stream 2 공사가 2020년 완공을 예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은 이 프로젝트에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이를 고려할 때 미국이 한반도 가스관도 반대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 연구원은 “가스관 건설은 한반도 내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성사만 된다면 매우 긍정적”이라며 “중장기적으로 LNG 수입을 중동에서 미국 등지로 전환하고 한반도 수요의 40% 안팎을 가스관으로 조달받는 노력이 필요할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