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SK하이닉스의 배당 확대와 연계해 2017년 주당 배당금을 늘릴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KT, LG유플러스 등 경쟁사들도 배당금을 늘릴 것으로 예상돼 SK텔레콤도 이와 비슷한 배당정책을 세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SK텔레콤도 SK하이닉스처럼 배당금 대폭 늘릴까

▲ 박정호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


3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최근 SK하이닉스가 2017년 배당금 규모를 확대하면서 SK텔레콤도 배당금을 늘릴 가능성이 나온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최대 실적을 낸 데 힘입어 1주당 배당금을 기존보다 67% 상향했다. 기존에 600원이었는데 400원 늘어 1천 원으로 올랐다.

SK텔레콤은 SK하이닉스 지분 20.1%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다. SK하이닉스가 1주당 배당금을 1천 원으로 상향함에 따라 SK텔레콤이 받게 되는 배당금은 876억 원에서 1461억 원으로 584억 원 증가하게 된다.

SK텔레콤은 SK하이닉스의 배당 확대로 현금 유입이 증가하면 배당을 늘릴 수 있는 여력이 커진다.   

예를 들어 늘어난 배당금 수익 584억 원을 모두 배당에 투입한다고 가정하면 SK텔레콤은 1주당 배당금을 827원 늘릴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SK텔레콤의 1주 당 배당금이 기존 1만 원에서 1만800원으로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

SK텔레콤이 2017년 양호한 실적을 냈을 것으로 추정돼 1주당 배당금을 1천 원 이상 늘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SK텔레콤이 2017년 별도기준 영업이익 증가와 SK하이닉스 배당 확대에 힘입어 배당금을 늘릴 것”며 “올해 1주당 배당금을 최소 1천 원 이상 올릴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KT, LG유플러스 등 경쟁사들도 2017년 배당금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KT는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2017년 1주당 배당금을 기존보다 25% 늘어난 1천 원을 지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16년에는 1주당 배당금으로 2015년보다 60% 늘어난 800원을 지급했다.

LG유플러스는 2016년 배당금을 2015년보다 40% 올렸고 2017년에는 8.6% 늘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경쟁사들이 최근 계속 배당금을 올리고 있어 SK텔레콤도 이러한 흐름에 동참할 가능성이 있다. SK텔레콤은 2015년 1주당 배당을 9400원에서 1만 원으로 늘렸고 그 뒤 1만 원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SK텔레콤의 2017년 배당규모가 예년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SK텔레콤의 현재 배당수익률도 경쟁사보다 높은 수준이어서 배당을 확대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배당수익률이란 주주들이 주식을 보유하고 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 가운데 하나로 주식가격 대비 배당금의 비율을 말한다.

SK텔레콤은 이번에 배당을 확대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3.8%에 이르는 배당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KT와 LG유플러스의 기대배당수익률은 각각 3.3%, 2.7% 수준이다.

또 SK텔레콤이 SK하이닉스로부터 받은 배당금 가운데 늘어난 부분 584억 원은 SK텔레콤에게 큰 금액이 아니어서 SK텔레콤의 배당성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이론적으로는 SK텔레콤의 1주 당 배당금이 증가할 수 있다”며 “하지만 SK하이닉스 비즈니스 모델의 싸이클을 고려하면 SK하이닉스의 배당 확대를 SK텔레콤 배당 확대로 100% 연결하기는 어렵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