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이 BNK금융그룹의 지배구조를 손본다.
외부인사로 구성된 투명성위원회를 만들고 각 계열사의 이사회가 독립적 판단과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김 회장의 지배구조 개편과 맞물려 BNK금융 주주들의 경영참여도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다.
◆ 김지완, BNK금융 지배구조 개편 채비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 회장은 BNK금융의 조직혁신을 꾀하기 위해 ‘백년대계 위원회’를 꾸리는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백년대계위원회는 대학교수와 업계 전문가 20명으로 꾸려지는 데 투명성, 미래비즈니스, 글로벌, 디지털, 해양금융발전 등 5개 분과로 구성된다.
김 회장과 외부 출신이 공동위원장을 맡아 위원회를 이끌기로 했는데 현재 외부 공동위원장을 뽑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투명성위원회를 중심으로 성세환 전 BNK금융지주 회장 이슈로 불거진 제왕적 지배구조와 부실한 내부통제시스템 등을 개선할 것으로 보인다.
BNK금융은 성세환 전 BNK금융지주 회장을 중심으로 한 지나친 권력집중이 BNK금융의 내부 통제시스템을 마비시켜 주가조작사태까지 이르게 했다는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 전 회장과 성 전 회장은 지주 회장과 이사회 의장, 부산은행장과 이사회 의장을 모두 겸직하며 이사회를 장악해 제왕적 권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김 회장은 이런 제왕적 지배구조를 깨뜨리기 위해 부산은행장을 따로 떼어낸 데 이어 이사회 의장도 사외이사에게 맡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사회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도록 해 견제기능을 제대로 하도록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 회장이 선임되는 과정에서 ‘낙하산 논란’ 및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미묘한 신경전 등이 불거졌던 만큼 경영승계프로그램도 손볼 가능성도 높다.
BNK금융은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마련했지만 실제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뚜렷한 기준이 없다는 한계가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BNK금융 이사회는 4월 성 전 회장이 구속된 뒤 두 달이 지나서야 차기 회장 선임절차를 시작해 9월에 김 회장을 선임했다. 박재경 당시 회장 직무대행이 BNK금융을 이끌었지만 5개월여 동안 굵직한 사업추진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 BNK금융지주 주주들, 경영참여 가능성 높아져
BNK금융지주 주주들은 사외이사를 추천해 이사회에 참여했지만 사실상 그동안 경영에 거의 참여하지 않으며 ‘거수기’ 역할에 그쳤던 것으로 알려졌다. 성 전 회장에게 권력이 집중됐다는 비판이 제기된 이유이기도 했다.
▲ (위쪽부터)국민연금공단 로고와 롯데지주 CI. |
김 회장의 지배구조 개편 의지와 맞물려 본격적으로 BNK금융지주 주주들이 경영에 참여하려는 시도를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도 이사회의 독립성 및 경영 투명화를 위해 주주들의 경영참여를 적극 수용할 가능성도 높다.
BNK금융지주의 주주 구성을 살펴보면 국민연금공단 12.52%, 롯데제과 등 롯데그룹 계열사 11.33%, 파크랜드 6.30%, 미국 투자회사인 Harris Associates L.P 5.03%, 우리사주조합 4.35% 등이다.
국민연금공단은 스튜어드십코드를 도입해 적극적으로 의결권 행사를 하기로 한 만큼 최대주주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그룹은 그동안 대부분 경영사안을 놓고 중립적 입장을 취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데 롯데그룹은 롯데지주를 설립해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 만큼 BNK금융 지분 11.33%를 매각해야 한다. 공정거래법상 일반지주회사는 금융회사의 지분을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유예기간인 2년 안에 처분해야 한다.
롯데그룹이 보유한 지분 11.33%의 향방에 따라 경영의지를 가진 새 주주가 등장하거나 기존 주주들의 위상이 더 높아질 수 있게 된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김 회장은 BNK금융 최초 외부출신 회장으로 BNK금융의 조직쇄신을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다”며 “김 회장이 BNK금융의 지배구조를 한단계 진화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