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회사들이 정부의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2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한미자유무역협정 개정협상을 계기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속도를 낼 수도 있다.

  포스코 현대제철,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당겨질까 촉각  
▲ 권오준 포스코 회장(왼쪽)과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
한국과 미국은 22일 한미자유무역협정 공동위원회 특별회기를 개최하면서 사실상 개정협상에 들어갔다.

미국은 수입산 철강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올해 4월부터 수입산 철강제품에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상무부가 특정 수입제품이 미국의 안보를 침해하지는 지를 조사해 이를 차단하도록 조치를 취하게 하는 조항이다.

미국이 철강부문에서 보호무역주의 장벽을 높이면서 한미자유무역협정 개정협상 과정에서 철강부문을 물고 늘어질 가능성이 나온다.

미국 철강업계는 한국 철강회사들이 값싼 산업용 전기요금 ‘보조금’을 받고 있다는 주장을 꾸준히 해온 탓에 한미자유무역협정 개정협상 테이블에 한국의 산업용 전기요금을 올릴 수도 있다.

정부는 당장에 산업용 전기요금을 인상한다는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다. 하지만 탈원전정책을 강력히 밀어붙이면서 결국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수순을 밟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런 상황에서 한미자유무역협정 개정협상이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불을 지필 수도 있다.

현대제철과 포스코를 비롯해 전기고로에서 쇳물을 생산하는 국내 철강회사들은 많은 양의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현대제철은 국내 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전기요금인 1조1605억 원을 냈다. 포스코는 7560억 원어치의 전기를 사용해 전력소비 순위 3위에, 동국제강은 2444억 원어치를 써 13위에 올랐다. 국내 철강회사들이 값싼 전기를 활용해 전기고로에서 쇳물을 생산하면서 많은 양의 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철강회사 매출에서 전기요금 비중은 철강회사별로 차이를 보이지만 보통 5~10% 수준으로 적지 않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산업용 전기료 인상은 국내 철강업계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며 “산업용 전기요금이 오르면 철강회사들은 원가상승과 수익악화를 피할 수 없는 데다 해법을 찾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