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OECD 경기선행지수 7개월째 상승, 3년7개월 만에 최고점

▲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생필품을 구매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하는 한국 경기선행지수(CLI)가 7개월 연속 상승했다.

13일 OECD는 지난달 한국 경기선행지수를 101.08로 발표했다. 2021년 11월 기록된 101.09 이래 3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OECD가 집계하는 경기선행지수는 경기 전환점을 미리 포착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다.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미리 파악하는 데 쓰인다.

기준선은 100으로 경기선행지수가 이보다 높게 나오면 향후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장기 추세를 웃돌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반대로 100보다 낮으면 장기 추세를 하회할것으로 전망된다는 셈이다.

한국 경기선행지수는 2022년 7월 기준 99.82로 20개월 연속 100을 밑돌았다. 지난해 2월에 100.02를 기록해 100을 웃돌며 완만한 상향 곡선을 그려왔다.

지난해 8월부터 11월까지는 하락세를 보였다가 12월부터는 다시 상승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된 한국 경기선행지수는 OECD가 공개한 12개 회원국 가운데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주요 20개국(G20)과 주요 7개국(G7) 평균과 비교해도 더 높다. G20 평균은 100.50, G7 평균은 100.51이다.

다른 주요국들보다 한국의 경기 전망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됐다는 뜻이다.

국내에서도 경기 개선을 암시하는 지표들이 여럿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4월 93.8에서 5월 101.8, 6월 108.7로 빠르게 상승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현재생활형편,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등 6개 주요개별지수를 표준화해 합성한 지수로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을 향한 심리적 기대를 나타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6월 수출액은 598억 달러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4.3% 증가했다. 무역수지도 91억 달러로 흑자를 기록했다.

역대 6월 실적 중 최대 수준이다.

국내 주식시장의 코스피 지수도 앞서 11일 장중 3216.69를 기록하며 3년10개월 만에 320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다만 경기 하방 요인이 없는 것은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다음달 1일부터 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향후 정부 관세 협상에서 내는 성과가 경기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정부는 8월1일까지 미측과 남은 기간 동안 집중적 협상을 통해 국익 최우선 원칙과 과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상호호혜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