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19년 5월14일 루이지애나주 해크베리에 위치한 카메론 LNG 수출기지를 방문해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협상 가능성을 열어 뒀는데 관세를 낮춰주는 조건으로 에너지를 구매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3일(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가 원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제품을 상호관세 품목에 포함하지 않은 선택이 오히려 다른 국가에 딜레마를 안길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일 미국의 무역 적자 폭이 큰 교역 상대국에 추가 세율을 부과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러면서 백악관은 에너지와 반도체, 의약품 등 일부 품목에는 상호관세를 추가로 적용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에너지를 상호관세에서 배제한 이유로 우선 미국 내 가격을 낮게 유지하겠다는 정책적 목표가 거론된다.
그런데 이와 다른 속내가 깔려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 것이다.
로이터는 “미국은 세계 최대 액화천연가스(LNG)와 정제유 제품 수출국”이며 “원유와 석탄 수출 기준으로도 4위”라고 설명했다.
에너지가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돼 세계 시장에서 가격 변동폭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근거로 꼽혔다.
미국에서 LNG와 원유를 이미 대규모로 수입하고 있는 유럽 사례가 제시됐다.
유럽이 에너지에 보복 관세를 책정하면 글로벌 가격 상승이 불가피해질 수 있어 미국이 이를 염두에 뒀다는 뜻으로 풀이됐다.
일본과 인도 등이 미국산 에너지 구매를 늘려 관세를 낮추거나 면제받으려 할 후보로 지목됐다.
트럼프 대통령 또한 3일 “다른 나라가 엄청난(phenomenal) 제안을 해 온다면 관세 협상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관세에 가장 좋은 협상카드 가운데 하나는 미국산 에너지”라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일관성 없는 성격을 감안하면 확실한 보장책이라 할 순 없다”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