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구글과 경쟁하기 위해 자사의 챗봇과 결합하기 위한 웹브라우저 개발을 고민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를 위해 오픈AI는 삼성전자와 협력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21일(현지시각) 미국 IT매체 디인포메이션을 인용해 오픈AI가 자사의 챗봇과 결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개발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디인포메이션의 소식통에 따르면 검색 기능 강화를 위해 논의를 진행하고, 콘드나스트, 레드핀, 이븐프라이트 등 웹사이트와 앱 개발을 위한 기업들과 계약 체결까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오픈AI는 이를 위해 구글의 주요 사업 파트너인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등 기기에 인공지능(AI)을 제공하는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인포메이션은 이러한 오픈AI의 움직임이 구글과 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구글의 웹 브라우저 관련 상황은 좋지 못하다. 미국 법무부는 최근 온라인 검색에 대한 독점을 이유로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 매각을 요구했다.
다만 디인포메이션은 오픈AI의 웹 브라우저가 출시가 빠르게 이뤄지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호현 기자
이를 위해 오픈AI는 삼성전자와 협력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지난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의 한 꼭지인 '격변의 세계 속 기술'에 패널로 참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로이터는 21일(현지시각) 미국 IT매체 디인포메이션을 인용해 오픈AI가 자사의 챗봇과 결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개발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디인포메이션의 소식통에 따르면 검색 기능 강화를 위해 논의를 진행하고, 콘드나스트, 레드핀, 이븐프라이트 등 웹사이트와 앱 개발을 위한 기업들과 계약 체결까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오픈AI는 이를 위해 구글의 주요 사업 파트너인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등 기기에 인공지능(AI)을 제공하는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인포메이션은 이러한 오픈AI의 움직임이 구글과 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구글의 웹 브라우저 관련 상황은 좋지 못하다. 미국 법무부는 최근 온라인 검색에 대한 독점을 이유로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 매각을 요구했다.
다만 디인포메이션은 오픈AI의 웹 브라우저가 출시가 빠르게 이뤄지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