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당국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공시 연기는 ESG 흐름을 후퇴시키는 조치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경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국과 미국 모두 ESG공시 의무화 계획을 세워뒀지만 이행 일정에 부담이 있었다”며 “공시 일정이 늦춰지는 것이 글로벌 국가의 공통된 모습이지만 일정연기는 후퇴가 아니라 제도가 원활히 뿌리내리도록 하겠다는 정책 의지로 봐야 한다”고 바라봤다.
전세계는 최근 ESG에 관심을 갖고 관련 공시 의무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도입계획은 조금씩 연기됐다.
국내에서는 금융위원회가 16일 공시의무화 도입시기를 2025년에서 2026년 이후로 1년 미룬다고 발표했다.
국내처럼 공시의무화 계획을 갖고 있던 미국에서도 비슷하게 연기흐름이 이어졌다.
이 연구원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의무화 발표 또한 한차례 연기돼 연말에 최종안이 나올 예정이다”며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7일 통과시킨 탄소배출량 공개 의무화 법안도 주지사가 발효시점이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흐름은 ESG공시의 실효성 있는 안착을 위한 움직임인 것으로 분석됐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ESG공시 의무화 연기를 발표하며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고 하더라도 이를 실제 현장에서 이행해야 하는 정책수요자가 감당하기 어렵다면 좋은 정책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고 바라봤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가빈 뉴섬 미국 캘리포니아 주지사도 연기 가능성을 시사하며 일관되지 않은 내용이 공시되거나 기업에 미치는 전반적 재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언급하며 법안 작성자 및 입법부와 협력해 우려사항을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ESG공시 강화 흐름 자체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시대가 변하면서 자본 흐름이 변하고 이에 따라 금융시장이 투자자에 제공해야 하는 중요한 정보 또한 달라진 것이다”며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인 기업부담을 고려하되 투자자에 투명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정책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고 바라봤다. 김환 기자
이경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국과 미국 모두 ESG공시 의무화 계획을 세워뒀지만 이행 일정에 부담이 있었다”며 “공시 일정이 늦춰지는 것이 글로벌 국가의 공통된 모습이지만 일정연기는 후퇴가 아니라 제도가 원활히 뿌리내리도록 하겠다는 정책 의지로 봐야 한다”고 바라봤다.
▲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왼쪽)이 16일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ESG 금융 추진단 제 3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전세계는 최근 ESG에 관심을 갖고 관련 공시 의무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도입계획은 조금씩 연기됐다.
국내에서는 금융위원회가 16일 공시의무화 도입시기를 2025년에서 2026년 이후로 1년 미룬다고 발표했다.
국내처럼 공시의무화 계획을 갖고 있던 미국에서도 비슷하게 연기흐름이 이어졌다.
이 연구원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의무화 발표 또한 한차례 연기돼 연말에 최종안이 나올 예정이다”며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7일 통과시킨 탄소배출량 공개 의무화 법안도 주지사가 발효시점이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흐름은 ESG공시의 실효성 있는 안착을 위한 움직임인 것으로 분석됐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ESG공시 의무화 연기를 발표하며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고 하더라도 이를 실제 현장에서 이행해야 하는 정책수요자가 감당하기 어렵다면 좋은 정책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고 바라봤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가빈 뉴섬 미국 캘리포니아 주지사도 연기 가능성을 시사하며 일관되지 않은 내용이 공시되거나 기업에 미치는 전반적 재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언급하며 법안 작성자 및 입법부와 협력해 우려사항을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ESG공시 강화 흐름 자체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시대가 변하면서 자본 흐름이 변하고 이에 따라 금융시장이 투자자에 제공해야 하는 중요한 정보 또한 달라진 것이다”며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인 기업부담을 고려하되 투자자에 투명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정책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고 바라봤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