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 그룹 재생에너지 핵심 축, 정탁 해상풍력발전 확대 속도 높여

정탁 부회장(사진 오른쪽)이 6월26일 톨슨 스멧 CIP 부회장과 '포항 해상풍력 및 그린비즈니스 협력을 위한 합의각서'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비즈니스포스트]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030년까지 풍력 발전량을 30배 늘리겠다는 공격적 목표를 세우고 해상풍력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표이사 부회장은 올해 초 포스코에너지와 합병을 계기로 LNG(액화천연가스)사업의 이익체력을 다져뒀다. 이를 바탕으로 정 부회장은 해상풍력발전 구축을 차질없이 추진해 '재생에너지 확대'라는 포스코그룹 지속가능경영의 핵심축 역할을 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최근 국내에 진출한 풍력 분야 해외 선도업체들과 협력을 통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국내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에 속도가 붙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최근 노르웨이 종합 에너지기업 에퀴노르와 '친환경분야 포괄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해상풍력발전사업 공동개발 등에 협력을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 협약에 따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에퀴노르와 울산시 연안 70km 해상에 15MW(메가와트)급 풍력발전기 50기를 설치해 모두 750MW규모의 세계 최대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하는 '반딧불이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해상풍력 발전은 육상풍력과 비교해 풍속이 더 빠르고 균일해 발전효율을 극대화하고 풍력 발전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풍속이 20% 증가하면 발전 출력을 약 70%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6월 세계 최대 그린에너지 자산운용사 가운데 하나인 CIP(코펜하겐 이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와 '포항 해상풍력 및 그린비즈니스 협력을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하고 포항 지역 해상풍력사업을 공동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포항 해상풍력은 경북 포항시 해상에 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포항에는 포항제철소와 포스코퓨처엠 등 그룹사 사업장이 있어 해당 사업을 통해 그룹 재생에너지 공급의 거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남 신안군 자은면 25km 해상에 300MW급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개발할 계획을 갖고 있다. 내년 말 착공해 2028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한다. 현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남 신안에 14.5MW 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와 62.7MW 규모의 육상풍력을 이미 운영하고 있다. 

지난 7월 초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모든 사업을 친환경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친환경본부를 설립했다. 그러면서 신안 해상풍력과 포항, 울산 등 동해권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해상풍력 프로젝트 공동개발을 통해 2030년까지 풍력사업 발전량을 현재의 30배인 2GW(기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해 초 포스코에너지를 흡수합병하고 통합법인으로 공식 출범했다. 이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기존 E&P(탐사·생산) 및 트레이딩 역량에 LNG터미널과 LNG발전소를 운영해 온 포스코에너지의 역량을 더하며 탐사부터 생산, 저장, 발전에 이르는 LNG사업 가치사슬(밸류체인)을 구축했다.

통합 법인의 첫 대표이사를 맡은 정 부회장은 에너지부문에서 LNG사업의 수익성을 활용해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정 부회장은 2분기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분기기준 사상 최대 영업이익(3572억 원) 달성을 이끌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기반을 단단히 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영업이익 6367억 원을 거둬 연간 영업이익 1조 시대를 가시권에 뒀다.

특히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분기 에너지부문에서 영업이익 1899억 원을 내 같은 기간 전체 영업이익의 53.2%를 책임졌다. LNG사업 밸류체인이 단단해지면서 수익성이 크게 확대돼 재생에너지 확대 전략의 추진력을 갖춘 것으로 분석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해상풍력사업 확대는 포스코그룹이 탄소중립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안정적 지속가능경영 기반을 마련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2012년부터 500MW 이상 발전사업자를 대상으로 발전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해 13%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지 않으면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를 구매하거나 미이행량에 따라 과징금을 내야 한다. 의무공급량은 해마다 증가해 2030년 뒤부터 25%로 고정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그룹 재생에너지 핵심 축, 정탁 해상풍력발전 확대 속도 높여

▲ 전남 신안 해상풍력 조성 계획 조감도.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2년까지 6년 연속으로 RPS에 100% 대응해왔다. 특히 2022년에는 의무공급량 214만346REC를 할당 받은 가운데 올해 의무량 일부를 조기 이행하면서 최종적으로 228만9920REC를 이행했다. 

RPS 대상 기업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에 따라 연도별 의무공급량의 20% 안에서 3년 범위 내 이행연기가 가능하고 당해연도 의무공급량의 20% 내에서 다음해 의무량을 조기이행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포스코인터내셔널이 RPS 대응 차원을 넘어 해상풍력 발전량을 7년 동안 30배나 늘릴 계획을 세운 것은 발전사업자인 포스코인터내셔널뿐 아니라 각 그룹사 역시 글로벌 친환경 경영 흐름에 따라 REC 수요가 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일례로 세계 해상풍력발전 1위 업체인 덴마크 오스테드는 지난해 8월 2025년까지 오스테드 공급망에 속한 모든 협력사의 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RE100)한다는 목표를 밝혔다. 오스테드는 해당 목표가 의무적 계약 요건은 아니라고 설명했지만 협력사들은 상당한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오스테드는 2026년 상업운영을 목표로하는 국내 최대 1.6GW급 인천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포스코그룹의 철강 부문 사업회사 포스코는 2021년 5월 오스테드와 MOU를 체결한 뒤 인천 해상풍력단지 구축에 필요한 철강재를 공급하고 있다. 포스코건설도 해당 사업의 해상풍력 구조물 건설을 맡았다.

포스코는 오스테드뿐 아니라 재생에너지 100% 사용 제품을 요구하는 고객사가 늘고 있어 REC 확보 등 대책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이에 LNG사업 수직계열화를 바탕으로 수익성을 단단히하며 해상풍력 확대에 나서는 정 부회장의 경영행보는 포스코그룹이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라는 지속가능경영을 펼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유럽연합(EU)은 10월부터 철강과 시멘트 등 6개 품목을 대상으로 탄소배출과 관련해 보고 의무를 부여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범기간을 운영하고 2026년 본격 시행한다.

CBAM은 유럽 역내로 수입되는 제품 가운데 역내 생산 제품보다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이 많은 제품에 비용을 부담시키는 제도로 실질적으로는 수입관세의 성격을 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하고 포스코 사업장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면 유럽에 수출하는 철강 제품에 내포된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RPS 대응을 위해 해상풍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포스코그룹 안에서 REC 수요를 전반적으로 책임지고 있어 그런 차원에서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