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030세대에서 인터넷전문은행을 이용하는 인원이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전문은행의 비상금대출 연체금액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케이뱅크 등 3대 인터넷전문은행에게 제출받은 최근 4년 동안 비상금대출 잔액 및 연체 현황에 따르면 3대 인터넷전문은행의 비상금대출 누적연체금액이 200억 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3대 인터넷전문은행은 최소 50만 원부터 최대 300만 원까지 마이너스통장(한도 대출) 방식으로 비상금을 대출해주는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서울보증보험을 통한 일종의 보증보험 방식이기 때문에 신용등급(CB)이 1~6등급이면서 보증서를 받을 수 있는 사람만 비상금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서류 제출과 심사가 간단한 비상금 대출의 특성상 금리는 높다. 9월13일 기준으로 비상금대출의 연이율은 카카오뱅크 4.795~15.00%, 토스뱅크 6.24%~15.00%, 케이뱅크 6.01%~16.00%다. 연체하게 되면 추가로 3%의 금리가 더해진다.
인터넷전문은행의 비상금 대출은 공격적인 마케팅과 함께 쉽고 빠른 대출 처리 때문에 매년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최근 금리인상으로 비상금대출 연체금액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2023년 8월 말 기준으로 3대 인터넷전문은행 비상금대출 잔액과 연체금액은 △카카오뱅크 2조3069억 원, 175억 원 △토스뱅크 1908억 원, 12억 원 △케이뱅크 1625억 원, 13억 원이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카카오뱅크는 2020년 기준으로 연체금액이 25억 원이었으나 3년도 안 돼 6.8배 상승한 175억 원을 기록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연체 대상에서 2030세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카카오뱅크 175억 원 가운데 123억 원(71%), 토스뱅크 12억 원 가운데 8억5500만원(71%), 케이뱅크 13억 원 가운데 7억8200만 원(60%)이다.
윤영덕 의원은 “손쉬운 대출에 사회 초년생들의 연체가 증가하고 있어 대출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하다”면서 “한편으로는 고금리·고물가에 경기침체까지 우려되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정교하고 선별적인 금융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홍준 기자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케이뱅크 등 3대 인터넷전문은행에게 제출받은 최근 4년 동안 비상금대출 잔액 및 연체 현황에 따르면 3대 인터넷전문은행의 비상금대출 누적연체금액이 200억 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9월14일 고금리·고물가에 경기침체까지 우려되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정교하고 선별적인 금융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영덕 의원실>
3대 인터넷전문은행은 최소 50만 원부터 최대 300만 원까지 마이너스통장(한도 대출) 방식으로 비상금을 대출해주는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서울보증보험을 통한 일종의 보증보험 방식이기 때문에 신용등급(CB)이 1~6등급이면서 보증서를 받을 수 있는 사람만 비상금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서류 제출과 심사가 간단한 비상금 대출의 특성상 금리는 높다. 9월13일 기준으로 비상금대출의 연이율은 카카오뱅크 4.795~15.00%, 토스뱅크 6.24%~15.00%, 케이뱅크 6.01%~16.00%다. 연체하게 되면 추가로 3%의 금리가 더해진다.
인터넷전문은행의 비상금 대출은 공격적인 마케팅과 함께 쉽고 빠른 대출 처리 때문에 매년 이용하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최근 금리인상으로 비상금대출 연체금액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2023년 8월 말 기준으로 3대 인터넷전문은행 비상금대출 잔액과 연체금액은 △카카오뱅크 2조3069억 원, 175억 원 △토스뱅크 1908억 원, 12억 원 △케이뱅크 1625억 원, 13억 원이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카카오뱅크는 2020년 기준으로 연체금액이 25억 원이었으나 3년도 안 돼 6.8배 상승한 175억 원을 기록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연체 대상에서 2030세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카카오뱅크 175억 원 가운데 123억 원(71%), 토스뱅크 12억 원 가운데 8억5500만원(71%), 케이뱅크 13억 원 가운데 7억8200만 원(60%)이다.
윤영덕 의원은 “손쉬운 대출에 사회 초년생들의 연체가 증가하고 있어 대출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하다”면서 “한편으로는 고금리·고물가에 경기침체까지 우려되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정교하고 선별적인 금융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홍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