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당국이 9월에 코로나19 차주 지원조치가 끝나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9월 위기설’ 진화에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연착륙 현황’을 내놓고 코로나19 차주 지원대책이 연착륙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금융당국은 2020년 4월부터 코로나19로 일시적 유동성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제도를 시행해 왔다.
시장에서는 해당 조치가 끝나면 연체 등 부실이 금융권 전체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이른바 ‘9월 위기설’이 나오고 있었는데 이에 선을 그은 것이다.
금융위는 “남은 지원액 76조 원 가운데 71조 원은 2025년 9월까지 만기를 연장할 수 있다”며 “금융기관은 관련 충당금을 충분히 쌓아 손실흡수능력과 자체채무조정 능력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부실이 불가피하다면 새출발기금 30조 원 등의 정책으로 대응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조치가 올해 9월 말에 동시에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전체 대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지원대상도 꾸준히 줄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6월 기준 35만 명 76조 원이었는데 이는 올해 3월(39만 명, 85조 원)이나 지난해 9월(43만 명, 100조 원)보다 감소한 것이다.
금융위는 감소사유를 두고 “지난해 9월에서 올해 6월 사이 줄어든 24조 원 가운데 22조4천억 원은 상환완료됐다”며 “나머지는 자금개선이나 대환대출로 저금리로 옮겨가 상환을 개시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금융위는 금감원 및 금융권 협회와 협조해 상환유예 차주 대상 특별면담을 실시하고 상환계획서를 보완하고 금융사 자체 연착륙 지원 프로그램 홍보도 강화해 연착륙을 돕고 있다”며 “이자상환유예 차주는 세심하게 1대1 관리를 이어갈 것이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
금융위원회는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연착륙 현황’을 내놓고 코로나19 차주 지원대책이 연착륙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 금융당국이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조치 연착륙 현황을 내놓고 9월 위기설 진화에 나섰다. 이세훈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당국은 2020년 4월부터 코로나19로 일시적 유동성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제도를 시행해 왔다.
시장에서는 해당 조치가 끝나면 연체 등 부실이 금융권 전체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이른바 ‘9월 위기설’이 나오고 있었는데 이에 선을 그은 것이다.
금융위는 “남은 지원액 76조 원 가운데 71조 원은 2025년 9월까지 만기를 연장할 수 있다”며 “금융기관은 관련 충당금을 충분히 쌓아 손실흡수능력과 자체채무조정 능력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부실이 불가피하다면 새출발기금 30조 원 등의 정책으로 대응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조치가 올해 9월 말에 동시에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전체 대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지원대상도 꾸준히 줄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6월 기준 35만 명 76조 원이었는데 이는 올해 3월(39만 명, 85조 원)이나 지난해 9월(43만 명, 100조 원)보다 감소한 것이다.
금융위는 감소사유를 두고 “지난해 9월에서 올해 6월 사이 줄어든 24조 원 가운데 22조4천억 원은 상환완료됐다”며 “나머지는 자금개선이나 대환대출로 저금리로 옮겨가 상환을 개시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금융위는 금감원 및 금융권 협회와 협조해 상환유예 차주 대상 특별면담을 실시하고 상환계획서를 보완하고 금융사 자체 연착륙 지원 프로그램 홍보도 강화해 연착륙을 돕고 있다”며 “이자상환유예 차주는 세심하게 1대1 관리를 이어갈 것이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