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지오센트릭이 해중합 기술 보유기업인 캐나다 루프인더스트리와 울산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건설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사진은 나경수 SK지오센트릭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다니엘 솔로미타 루프 CEO가 온라인 화상연결로 진행된 체결식 뒤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 SK이노베이션 >
SK지오센트릭은 캐나다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기업 루프인더스트리와 울산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건설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계약을 맺었다고 3일 밝혔다.
SK지오센트릭과 루프인더스트리는 51대 49 비율로 각각 지분을 투자해 올해 안에 합작법인을 설립한다.
두 회사의 합작법인은 2025년 완공을 목표로 구축하고 있는 플라스틱 재활용 종합 클러스터 '울산 ARC(Advanced Recycling Cluster)'에 연간 생산능력(연산) 7만 톤 규모의 해중합 재활용 공장을 건설한다.
루프인더스트리가 보유한 해중합 기술은 유색 페트(PET)병, 폐폴리에스터 섬유 등 플라스틱을 이루는 큰 분자의 중합을 해체해 플라스틱 기초 원료 물질로 되돌리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재생수지로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
두 회사는 2030년까지 울산을 포함해 아시아에서 최소 3개 이상의 해중합 공장을 구축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SK지오센트릭에 따르면 아시아는 세계적으로 페트(PET)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지역이다. 이 가운데 특히 폴리에스터로 제작한 스포츠의류, 봉제원단, 현수막 등은 현재 기술로는 재활용이 어려워 주로 소각 또는 매립되고 있다.
SK지오센트릭과 루프인더스트리는 유럽에서도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두 회사는 프랑스 환경전문기업 수에즈와 함께 프랑스 북동부 생타볼 지역에 2027년까지 연산 7만 톤 규모의 재활용 공장을 설립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나경수 SK지오센트릭 대표이사 사장은 “이번 합작법인 설립 계약으로 재활용 공장 건설 구체화는 물론 세계 최고의 ‘리사이클링 소재 기업’이라는 목표에 한발 더 다가서게 됐다”며 “루프인더스트리와 지속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폐플라스틱 문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