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과 중공업도 국내에서 안주하지 말고 글로벌 기업으로 커가야 한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2012년 4월17일 삼성그룹의 건설중공업 사장단과 오찬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이 회장은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 삼성물산 건설부문, 삼성테크윈 등 건설중공업 계열사 사장단으로부터 글로벌 비즈니스 육성방안을 보고 받고 삼성전자처럼 키우라고 주문한 것이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이 회장은 2014년 5월 급성 심근경색으로 쓰러지기 직전 다른 방식으로 삼성중공업에 애정을 표시하기도 했다.
한 달 앞서 세월호 침몰사고가 터졌고 삼성중공업 크레인이 구조활동에 동원됐다. 이 회장은 삼성중공업의 크레인이 사고현장에 도착하는 광경을 지켜보며 안타까움을 나타내면서도 위기상황을 지원하는 데 자부심도 보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조선사 구조조정의 회오리에 휘말린 삼성중공업을 구하는 데 팔을 걷어붙이고 나설까?
삼성그룹의 건설과 중공업이 위기라는 말은 어제오늘 나온 말이 아니다. 하지만 삼성중공업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르며 채권단에 자구안까지 제출한 점은 삼성그룹으로서 굴욕적 상황일 수밖에 없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17일 밤 늦게 주권은행인 KDB산업은행에 구조조정안을 제출했다. 삼성그룹 역사에서 계열사가 채권단에 구조조정안을 낸 것은 삼성자동차 이래 17년 만에 처음있는 일이다.
삼성중공업은 재무구조 개선과 유동성 확보를 위해 인력감축, 임금동결 및 삭감, 도크 폐쇄, 비핵심 자산 매각 등의 내용을 담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업계에서 예측한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이번 구조조정안에 어떤 결론을 낼지는 이달 말경 윤곽이 드러난다. 현재 삼성중공업의 금융권 총 위험노출액(익스포져)은 산업은행이 1조 원, 수출입은행이 4조3000억 원이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등 시중은행도 1조 원 이상 물려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당국과 채권단 일각에서 삼성중공업의 위기에 최대주주인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그룹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이재용 부회장이 결단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오고 있다.
이동걸 산업은행장도 한 인터뷰에서 “삼성중공업의 문제는 이재용 부회장이 어떤 결정을 하느냐가 중요하다"며 "다른 조선사들보다 더 좋은 방향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삼성중공업 유동성 위기를 심각하게 보고 있으며 계열사 위기에 대주주도 어떤 형태로든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라고 주문한 것으로 해석된다.
삼성중공업은 삼성전자가 지분 17.6%를 보유해 최대주주이며 이밖에 삼성생명,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물산, 제일기획 등이 소유한 지분을 포함하면 삼성그룹 지분이 24.1%에 이른다. 이재용 부회장이 개인적으로 소유한 지분은 없다.
김종중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사장은 18일 삼성 수요사장단회의에 참석하면서 삼성중공업과 관련한 질문에 “삼성중공업에 물어보라”고 말을 아꼈다. 삼성중공업 구조조정 이슈가 삼성그룹 전체로 확대되는 데 대해 부담스러워하는 기류를 보여준 셈이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삼성중공업이 자구안을 제출했고 채권단이 이에 대해 결정을 내릴 것이며 그룹 차원 지원은 검토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채권단이 삼성중공업 구조조정안을 물리칠 가능성은 현재로서 낮은 것으로 점쳐진다. 그러나 최근 조선해운 구조조정과 관련해 변죽만 요란하게 울릴 뿐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점은 채권단에게 부담이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최대주주 고통분담을 직간접적으로 요구했으나 공허한 메아리에 그치고 있다”며 “직원들과 협력업체들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대주주는 봐주는 꼬리자르기식 구조조정으로 끝날 우려도 나온다”고 말했다.
▲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
금융권 관계자는 “이재용 부회장과 삼성그룹의 지원이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이뤄진다면 채권단이 유동성 지원이나 상환유예 등의 결정을 내리는 데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자구안에 삼성그룹 차원의 유상증자 계획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부회장은 삼성엔지니어링이 자본잠식에 이르자 유상증자로 탈출을 꾀할 때 주식을 사는 방식으로 사재를 출자했다.
삼성중공업 자구안에 유상증자 방안이 포함되고 이 부회장이 삼성엔지니어링 경우처럼 개인지분을 얼마간이라도 소유하게 된다면 회생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삼성그룹 관계자는 “삼성엔지니어링은 자본잠식을 당해 회사를 살리기 위해 이 부회장이 유상증자 참여를 결정한 것이고 삼성중공업은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이 최대주주 삼성전자 등 계열사를 동원해 지원에 나서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외국인 주주들이 부실계열사 지원을 곱게 볼 리 없기 때문이다.
삼성중공업 구조조정 사태는 이 부회장에게 개별 회사의 회생에 국한하지 않고 삼성그룹 사업재편의 밑그림을 다시 그려야 하는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