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결국 문창극 카드 포기하나  
▲ 박근혜 대통령(왼쪽)이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재가를 연기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문창극 총리후보자의 국회 임명동의안 재가를 연기했다. 이를 두고 자진사퇴를 종용하는 것이라는 의견부터 새 총리 후보를 찾고 있는 것이란 말까지 해석이 분분하다.

여권의 기류는 박 대통령이 문 후보를 포기하는 쪽으로 이미 바뀌었다. 특히 친박의 핵심인물인 서청원 의원이 연일 문 후보의 자진사퇴를 압박하면서 서 의원이 박 대통령을 대신해 총대를 메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18일 브리핑을 통해 “박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해서 총리와 장관 임명동의안 및 인사청문요구서 재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순방 중 경제적 외교적으로 중요한 발표가 많다”며 “순방 기간에 외교적 경제적 이슈에 집중하고 임명동의안은 여러 사항을 충분히 검토한 뒤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제출은 13일로 예정돼 있었지만 제출서류가 다 갖춰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16일로 연기됐다. 박 대통령이 해외순방을 나서기 전 임명동의안 재가를 하고 떠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았으나 임명동의안 제출은 17일로 하루 더 미뤄졌다. 박 대통령은 결국 임명동의안에 서명하지 않고 순방을 떠났다.

문 후보자는 국무총리 후보 지명 이후 과거 강연에서 일본 식민지와 위안부 문제에 대해 부적절한 발언을 하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비난하는 칼럼을 쓴 것 때문에 여론의 비판에 직면해 있다.

문 후보자는 15일 긴급기자회견에서 고개를 숙이며 사과했다. 그러나 병역의무 이행 중 대학원에 다닌 사실이 밝혀지면서 비판여론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여야를 가릴 것 없이 사퇴를 압박하면서 문 후보자는 사면초가 상태에 처해 있다.

새누리당 내 유력한 당권 후보자인 서청원 의원은 18일 “당과 국민, 현 정부를 위해서 이럴 때 본인이 스스로 판단해 부담을 주지 않는 게 좋을 것”이라며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서 의원은 “총리지명 이후 여론이 더 악화되고 본인에게도 부담을 주고 있다”며 “자칫하다가 새누리당의 당론분열이 심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 의원은 전날인 17일에도 “문 후보자 스스로 언행에 대한 국민의 뜻을 헤아리고 심각한 자기성찰을 해야한다”면서 “문 후보자가 국민을 위한 길이 무엇인가 잘 판단해야 한다”고 우회적으로 문 후보자가 사퇴해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7선 중진 의원인 서 의원의 이같은 발언은 여권 수뇌부의 입장변화를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야당은 직접적으로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박범계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은 17일 “박 대통령이 임명동의안을 재가하지 않은 뜻은 자진사퇴라고 본다”며 “눈치없는 문 후보자는 거취결정을 해주길 바란다”고 몰아붙였다.

박 대통령은 16일부터 21일까지 중앙아시아 3개국(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을 순방중이다. 박 대통령이 귀국하자마자 임명동의안을 재가한다고 해도 주말을 지난 23일에야 국회에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구서가 제출될 수 있다. 일부에서 박 대통령과 청와대가 새 총리 후보를 지명하기 위해 시간을 벌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