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 대우건설 대표이사 사장이 협력사 지원을 통해 현장안전을 강화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협력사 사망사고가 많아 ‘위험의 외주화 1위 기업’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 때문에 협력사를 지원해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최악의 산재기업'이라는 오명을 떨쳐내려는 것이다.
5일 대우건설에 따르면 김 사장 취임 이후 협력사를 위한 자금지원,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이유에는 중소기업과 상생뿐 아니라 현장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도 담겨 있다.
대우건설은 KDB산업은행과 280억 원 규모의 동반성장 특별펀드를 조성해 운용하고 있는데 이 펀드는 대금결제기간을 단축하고 현금결제 비율을 높여 협력사 자금운용에 숨통을 틔어주는 역할을 한다.
대우건설은 협력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현장안전관리와 법률 관련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이렇게 김 사장이 협력사 지원에 신경을 쓰는 배경에는 대형건설사의 현장 안전사고가 주로 협력사가 고용한 노동자들에게서 발생하고 있다는 고민도 깔려 있다.
2018년 건설현장에서는 432명이 사망했는데 이 가운데 236명(54.6%)이 협력사 노동자들이었다. 노동계 관계자들은 지난해 협력사 근로자 사망비율도 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을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대형건설사 협력사들 가운데는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거나 현장안전 관련 교육이 부족한 곳이 많아 근로자들을 열악한 근무환경에 방치하는 사례가 많다.
김 사장이 협력사 지원에 계속 신경을 쓴다면 더 많은 현장 노동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일할 가능성이 커지는 셈이다.
김 사장은 지원을 제공하는 만큼 협력사에 높은 현장 안전기준도 적용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협력사 평가에서 안전평가 항목의 비중을 4%에서 20%로 높였다. 시공능력 못지 않게 현장안전을 관리하는 능력을 협력사 선정 기준에서 중요하게 보겠다는 뜻이다.
연 3회 이상 중대재해나 3명 이상의 사망사고가 일어난 협력사는 거래를 바로 중단하기로 한 것도 현장안전 강화를 위한 맥락으로 풀이된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가장 많은 하청 노동자가 사망한 건설사로 지목돼 김 사장은 현장안전 강화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일 수 밖에 없다.
올해 4월 민주노총 등이 참여한 ‘산재사망대책마련 공동캠페인단’은 지난해 7명의 하청 노동자가 숨진 대우건설을 위험의 외주화를 이끈 ‘최악의 산재기업’으로 꼽았다.
김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우리의 명성이 한 순간의 실수로 사라지지 않도록 최우선 가치인 생명과 직결된 안전에 관해 처음부터 끝까지 되짚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신년사에서도 김 사장이 현장안전 강화를 강조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우건설이 현장안전을 강화하는 데 한동안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김 사장은 협력사 지원과 함께 내부 조직을 가다듬으며 현장안전 강화를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김 사장은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사업부별로 안전관리팀을 별도로 두게 했다.
회사 차원의 안전관리 부서를 운영하는 것보다 사업부마다 관련 조직을 두는 것이 현장안전 강화에 더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사장이 현장안전에 안팎으로 공을 들인 효과가 올해 들어 사망사고 감소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우건설은 올해 상반기 현장사고로 노동자 1명이 사망했다. 지난해에는 1분기에만 3명이 대우건설 현장에서 숨졌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대우건설의 현장안전 관련 방침은 점점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현장 안전사고 감소가 아니라 ‘제로(0)’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
이제 안전이다.
코로나19는 삶의 질보다 안전이 우선함을 깨닫게 했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다. K-Pop에서 K-방역에 이르기까지 국제적 위상도 크게 높아졌다.
하지만 안전의 눈으로 살펴보면 우리 사회는 여전히 가야 할 길이 멀다.
위험의 외주화를 막는 ‘김용균법’이 시행된 지 반 년이 넘었지만 산업현장의 사망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핀테크를 필두로 비대면산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개인정보 보호대책을 마련하는 일도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제 안전이 기업을 평가하는 주요한 잣대가 됐다. 안전경영이 기업의 경쟁력인 시대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안전경영을 위한 기업들의 노력과 안전사회를 향한 정부와 정치권의 움직임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1부 안전경영이 경쟁력
1회 현대건설
2회 대우건설
3회 롯데건설
2부 공기업이 앞장서야
3부 보안도 안전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