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겸 대구은행장이 케이뱅크에 대규모 유상증자를 하는 방안을 검토하며 고심이 클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DGB금융지주의 케이뱅크 지분을 늘려 디지털사업을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케이뱅크 영업 정상화까지 투입해야 할 자금의 규모가 커 결정을 쉽게 내리기 쉽지 않은 상황에 놓여있다.
 
김태오, DGB금융의 케이뱅크 1천억 유상증자 참여 놓고 고심 거듭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겸 대구은행장.


케이뱅크 주주사 관계자는 30일 “KT가 DGB금융지주에 케이뱅크 유상증자를 제안해 두 회사가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KT와 DGB금융지주가 결론을 내면 다른 주요 주주들도 참여하는 유상증자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DGB금융지주는 1천억 원가량의 자금을 투입해 케이뱅크 지분율을 15% 가까이 높일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계열사인 DGB캐피탈을 통해 케이뱅크 지분을 이미 3.2%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10%안팎의 지분을 더 늘리게 되는 셈이다.   

DGB금융지주가 계획대로 증자를 한다면 보통주 기준으로 우리은행(13.79%)을 넘어서 케이뱅크 최대주주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DGB금융지주는 케이뱅크 투자를 통해 디지털사업 비중을 높이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DGB금융지주는 올해 하나금융그룹의 모바일 계열사인 핀크와 협력을 강화하고 핀테크 스타트업에 투자를 늘리는 등 디지털사업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겸 대구은행장도 올해 여러 자리에서 “DGB금융그룹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에 힘쓰겠다”고 말해왔다.

케이뱅크 최대주주에 등극한다면 이와 관련된 가장 확실한 성과를 낼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케이뱅크 주요주주들도 DGB금융지주가 주도하는 유상증자를 반기는 것으로 파악된다. 올해 들어 케이뱅크의 상황이 많이 바뀐 탓이다. 

DGB금융지주는 지난해 6월에도 케이뱅크의 지분을 늘려 주요주주로 올라서려 했지만 당시 다른 주요주주들이 지분율 희석을 이유로 반대의사를 보이면서 뜻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케이뱅크 주주사의 한 관계자는 “케이뱅크 주주들이 대출중단 등을 끝내고 영업 정상화를 이끌 수 있는 유상증자를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KT가 유상증자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던 지난해와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게다가 DGB금융지주는 6월 하이자산운용을 776억 원에, 하이투자선물을 285억 원에 뱅커스트릿 프라이빗에쿼티에 매각해 케이뱅크에 자본을 투입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문제는 DGB금융지주가 케이뱅크에 자본을 투입하는 것이 이번 한 번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DGB금융지주는 이번 유상증자로 지분을 늘린다면 앞으로 있을 추가 유상증자에서는 높아진 지분율에 맞춰 더 큰 부담을 안아야 한다. 

케이뱅크 자본금은 5051억 원으로 DGB금융지주가 1천억 원을 투입하더라도 자본금이 6천억 원가량에 그친다.  

카카오뱅크 자본금이 1조3천억 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케이뱅크 정상 영업을 위해 최소 1조 원의 자본금이 필요하다고 보는 시선이 많다.  

DGB금융지주가 앞으로 케이뱅크의 최대주주 지위에 오르면 4천억 원이 넘는 추가 유상증자를 이끌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될 수 있다는 얘기다.  

금융권 관계자는 “DGB금융지주는 금융주력자로 대구은행 등 계열사를 활용해 케이뱅크 지분을 늘리는 데 법적 문제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우리금융지주도 부담스러워하는 케이뱅크의 추가 증자를 앞으로 감당할 수 있을 지는 의문”이라고 바라봤다.
 
DGB금융지주 관계자는 케이뱅크 유상증자와 관련해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