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총괄사장이 야심차게 추진해 온 전기차 배터리 사업이 법적 공방에 휘말리게 됐다.
김 사장은 전기차 배터리사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점찍고 과감한 투자를 이어왔는데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을 핵심인재 유출과 영업비밀 침해로 미국 법원에 고소하면서 소송결과에 따라 북미 배터리사업에서 큰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
LG화학은 30일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을 대상으로 미국 델라웨어 지방법원에 영업비밀 침해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LG화학은 이와 함께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SK이노베이션이 생산한 셀, 팩, 샘플 등의 제품을 전면 수입금지할 것을 요청했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이 2017년부터 2년 동안 연구개발, 생산, 품질구매, 영업 등 2차전지사업 전 직군에서 핵심인력 76명을 빼갔다”고 주장했다.
SK이노베이션은 즉각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LG화학의 소송은 기업의 정당한 영업활동에 대한 불필요한 문제제기”라며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사업은 투명한 공개채용 방식으로 이동 인력 당사자의 의사에 따라 진행됐다”고 반박했다.
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수준 기술력 및 제품력을 기반으로 공정경쟁을 통한 영업활동을 해왔다”며 “LG화학이 국내 이슈를 외국에서 제기한 것은 국익 훼손 우려가 있다”고 유감의 뜻을 보였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이 2차 전지사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힌 2017년을 기점으로 LG화학의 2차전지 관련 핵심기술이 다량 유출된 구체적인 자료들을 발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이 당시 경력직을 모집하면서 LG화학 양산기술 및 핵심공정 기술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한 동료 전원의 실명까지 상세하게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며 관련 자료를 제시했다.
전지사업본부 인력들이 집단적으로 공모해 핵심기술 자료를 유출했으며 이들이 이직 전 회사 시스템에서 개인당 400여건에서 1900여건의 핵심기술 관련 문서를 다운로드한 사실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소송은 SK이노베이션의 전지사업 미국 법인이 소재한 델라웨어 지방법원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소송결과에 따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사업은 북미시장에서 큰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1조1396억 원을 투자해 미국 조지아주에 연 9.8기가와트시를 생산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다. 이 공장에서 2022년부터 양산을 시작해 최대 고객사인 폴크스바겐에 납품을 추진한다.
SK이노베이션이 조지아주에 확보한 공장 부지는 50기가와트시 수준의 공장을 지을 수 있는 크기다. 최근 SK이노베이션이 폴크스바겐과 북미에 합작법인을 설립한다는 예측이 나온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LG화학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에 신청한 미국 내 SK이노베이션 생산 제품 수입금지가 받아들여지면 SK이노베이션으로서는 북미사업 전체가 중단될 위기에 처하게 된다.
나아가 미국 법원에서 LG화학이 주장한 영업비밀 침해금지를 받아들이면 미국 뿐만 아니라 유럽, 중국 등 글로벌시장에서도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
당장 미국 국제무역위원회의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유럽 및 미국 고객사들의 추가 수주를 확보하는데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LG화학은 “향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가 5월 중 수입금지 요청을 조사하고 결정을 내리면 2020년 상반기에 예비판결, 하반기에 최종판결을 내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이번 소송은 경쟁사의 부당행위에 엄정하게 대처해 오랜 연구와 막대한 투자로 확보한 핵심기술과 지식재산권을 보호하는 불가피한 조치이다”며 “정당한 경쟁을 통한 건전한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LG화학에서 제기한 사안을 명확하게 파악해 필요한 법적인 절차들을 통해 확실하게 소명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석현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