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채희봉 전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 우태희 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안완기 경남테크노파크 원장. |
한국가스공사가 한 차례 사장 공모가 무산된 뒤 재공모 절차에 들어갔다.
사장후보로 관료 출신들이 업계 안팎에서 유력하게 거명된다.
◆ 채희봉 우태희 안완기, 관료 출신이 후보로 물망
12일 한국가스공사에 따르면 가스공사 사장은 관료 출신들이 득세해 온 가운데 2000년대 들어 민간 출신과 내부 발탁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관료 출신이 사장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유력하게 거론되는 채희봉 전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 우태희 전 산업부 2차관, 안완기 경남테크노파크 원장 모두 행시 출신으로 산업부에서 관료생활을 했다.
채 전 비서관은 경북 문경에서 1966년 태어났다. 용산고와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행정학 석사, 미국 밴더빌트대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행시 32회로 산업부에서 가스산업과장, 에너지산업정책관, 무역투자실장 등을 거쳤다. 참여정부 때 청와대에서 행정관으로 일했고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을 역임했다.
채 전 비서관은 2018년 10월 강성천 현 비서관에게 자리를 넘기고 물러났는데 이전부터
정승일 전 사장의 뒤를 이어 가스공사 사장 물망에 올랐다.
다만 가스공사 정관은 최근 6개월 이내 공무원 재직자는 사장 후보에 응모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채 전 비서관은 사장 공모에 지원할 수 없었지만 이제는 6개월 제한 걸림돌이 사라졌다.
우태희 전 차관은 서울에서 1962년에 태어났다. 배문고와 연세대 행정학과를 나와 서울대에서 행정학 석사, 미국 UC버클리애서 경제정책 석사학위를 받았다. 경희대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우 전 차관은 행시 27회에 최연소 수석으로 합격해 산업부에서 주력산업정책관, 통상교섭실장, 통상차관보를 거쳤다.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선임행정관, 박근혜 정부에서 차관에 발탁되는 등 역대 정부에서 두루 중용됐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후보로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특임교수이며 한국도시가스협회 사회공헌기금 운영위원장, 블록체인협회 산업발전위원장으로 활동한다.
안 원장은 경기도 수원 출신으로 1963년 태어났다. 수성고와 서울대 법대 공법학과를 나왔고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을 졸업했다. 관료 출신이긴 하나 다른 이들처럼 관료 외길을 걷지는 않았다. 가스공사 부사장을 역임해 내부 인사로 분류되기도 한다.
행시 30회에 수석으로 합격해 1999년까지 상공부와 통상산업부에서 관료 생활을 했다. 이후 공직에서 물러나 2000년부터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미국변호사로 일했다.
산업부 에너지정책자문위원, 에너지산업규제개혁융합분과위원장 등으로 활동하다가 2016년 한국가스공사 관리부사장으로 영입됐다. 이후 이승훈 전 사장이 물러나자 사장 직무대행을 맡았다.
안 원장도 정 전 사장이 물러난 뒤 사장후보로 거론됐으나 지난해 10월 경남테크노파크 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사장 선임 가능성이 다소 낮아졌다.
◆ 가스공사 수장 공백 이번에 채워지나
가스공사는 사장 초빙공고를 내고 사장 재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10일부터 19일까지 서류접수를 받고 있다.
가스공사는 2018년 9월
정승일 전 사장이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으로 이동한 뒤 반 년 넘게 사장 공석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진행한 사장 공모를 통해 조석 전 한국수력원자력 사장과 김효선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에너지분과위원장을 최종 후보로 압축하고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의결까지 이뤄졌으나 마지막 인사검증의 문턱을 끝내 넘지 못했다.
결국 재공모 절차를 밟으면서 3개월 더 사장 공백이 이어지게 됐다.
서류심사와 면접, 공공기관운영위원회 후보자 추천, 가스공사 주주총회 의결, 산업부 장관 임명 제청, 대통령 재가를 거쳐 이르면 7월 초 사장 선임절차가 끝난다.
가스공사는 열 달 가까이 사장 공백을 맞고 있다. 가스공사 역사상 유례 없는 일이다. 2015년 장석효 전 사장이 비리 논란으로 물러났을 때와 2017년 이승훈 전 사장이 정권 교체 이후 물러났을 때도 사장 공백을 겪었으나 6개월 만에 새 사장이 취임했다.
이 때문에 가스공사의 사장 공백을 해소하고 새로이 조직 기강을 다져야 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게 될 신임 사장 후보군에 더욱 관심이 집중된다.
◆ 높아진 인사검증의 벽, 정부 부담 가중
문재인 정부는 인사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기업 사장 인사 하나도 허루투할 수 없는 이유다.
환경부 블랙리스트 논란으로 김은경 전 장관이 검찰 수사를 받고 있고 2기 개각에서 2명의 장관이 낙마했다. 최근에는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둘러싸고 주식투자 논란이 뜨겁다.
가스공사 사장에 도전하는 후보자들이 넘어야 할 검증의 허들이 이전보다 높을 수 있다. 앞서 공모에서 조 전 사장과 김 위원장이 검증에서 탈락한 점도 이를 방증한다.
가스공사 노조의 움직임도 사장 선임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조 전 사장과 김 위원장이 탈락하는 과정에서 노조의 강한 반발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는 관측이 많다.
노조는 조 전 사장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중용받았고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정책을 이행하기에 부적절하다는 이유로, 김 위원장은 업무능력이 증명되지 않아 가스공사 사장을 맡기 부족하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이들은 청와대 앞 1인시위와 국민청원을 벌이는 등 거세게 사장 선임을 반대했다. 가스공사 노조는 2018년 1월
정승일 전 사장 취임에도 반대해 출근 저지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