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수석부회장은 3월 말에 인사발령을 통해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중국사업을 총괄하던 조직의 임직원들을 대거 중국 현지로 전진 배치하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에서 판매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근본적 조치를 내놓지 않는다면 현대기아차의 입지가 더욱 쪼그라들 가능성이 높다.
친환경차 생산과 판매를 적극적으로 밀고 있는 중국 정부의 정책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판을 다시 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중국 정부는 3월 말에 ‘2019년 전기차 보조금 지급 확정안’을 발표했는데 1회 충전으로 달릴 수 있는 주행거리가 250km 미만인 자동차에는 아예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 1회 가능 주행거리가 250km 이상인 전기차에 지급하는 보조금도 절반 이상 줄였다.
전기차 등 친환경차 의무판매제도인 신에너지차(NEV) 크레딧 정책은 지속한다. 올해 중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기업은 전체 판매량의 10%를 채워야 하는데 이 비율이 내년에는 12%까지 올라간다.
중국 자동차시장에서 전기차 점유율이 5% 이상을 보이는 상황이라 전기차시장이 자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해 지원은 줄이고 규제는 강화하는 것이다.
현대기아차도 상반기에 라페스타 전기차 모델과 엘란트라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을, 하반기에 엔씨노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겠다는 계획은 세워두고 있다.
하지만 현재 출시 계획만으로 급속도로 성장하는 중국 친환경차 시장에서 자리 잡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시각이 넓게 번져 있다. 테슬라와 폴크스바겐 등은 이미 중국 현지에 공장을 짓거나 합작회사를 세우는 방식으로 중국 전기차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대대적 투자계획을 내놓았다.
정 수석부회장이 사실상 중국에서 힘을 빼고 러시아와 인도 등 신흥시장에서 매출 확대에 주력하는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자리잡고 있다.
실제로 현대차는 올해 한국과 미국, 인도, 터키, 체코, 러시아, 브라질 등에 공장 신증설과 신차 출시, 보완투자 등으로 모두 3조5731억 원을 쏟아 붓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중국사업은 현대차그룹에게 미국 다음으로 비중이 큰 시장인데도 불구하고 투자계획에서 유일하게 빠졌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중국사업이 공급과잉인 상황에서 현재로서는 투자보다는 효율성 향상과 수익성 확보에 집중하기 위해 투자계획을 정한 것일 뿐 사업 자체를 축소하려는 것은 결코 아니다”라며 “중국시장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효율화 단계부터 차근차근 중국사업을 반등할 만한 해법을 내놓을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밝힐 수 없지만 다양한 전기차를 시장에 꾸준히 출시해 중국사업을 회복하겠다는 것이 궁극적 목표이며 이를 위해 중국 현지 배터리 제조기업과 협력도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핵심은 중국의 사드보복과 관련된 공산당의 정책에 밀린것 뿐이다,한국의 많은기업이 중국에 투자를 했지만 시기가 적절하지 않으므로 방향성을 같이 틀어줘야 하는것이 맞고 후일을 위해서 준비해야 한다, 정치권의 인사는 화무십일홍이다 찐빵이 쉬어서 못먹으면 버리고 새밀가루를 주문해야 한다 단,3일후에... (2019-04-17 17:2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