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성철 삼성생명 대표이사 사장이 금융감독원의 종합검사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삼성생명 암보험금과 관련한 민원을 놓고 최대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며 금감원과 관계 개선에 나서고 종합검사를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
23일 금감원 관계자에 따르면 금감원은 조만간 금융위원회에 종합검사 진행방안을 보고한다. 종합검사를 실시할 금융회사 명단이나 세부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종합검사는 금감원 검사 인력 20~30명이 길게는 한달 이상 한 금융회사에 머무르며 회사 업무 전반을 종합적으로 살피는 강도 높은 검사다.
2016년 규제 완화 차원에서 중단됐다가 지난해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취임한 이후 다시 도입됐다.
삼성생명은 지난해부터 금감원과 즉시연금, 암보험금 등을 놓고 대립각을 세웠던 만큼 이번 종합검사에 첫 검사대상으로 꼽힐 가능성이 높다.
윤 원장은 18일 금감원 신입 직원 임용식이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삼성생명도 종합검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직접 말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현 사장은 금감원과 갈등관계를 이어가기보다 최대한 금감원의 의견을 수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요양병원비용 지급과 관련해 민원인의 손을 들어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생명은 그동안 암환자의 요양병원 입원비용을 암보험금에 포함해야 하는지를 놓고 항암치료를 진행한 주치의의 권고가 있는 상황에서만 보험금으로 취급하겠다는 의견을 유지했다.
하지만 주치의의 소견서가 없더라도 급하게 암이 재발하거나 상태가 악화된 사례에 한해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여론이 부각되면서 삼성생명은 이를 받아들일지 여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
주치의가 요양치료를 권고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후 상태가 악화돼 소견서 없이 요양병원에 입원했다면 이를 암치료의 연장선상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삼성생명이 아직까지는 항암치료를 진행한 주치의의 소견만 보험급 지급 의견서에 반영했다"면서도 "다만 수십 건의 민원사례 가운데 아직까지 두 건의 의견서만 제출한 만큼 향후 삼성생명의 의견이 어떻게 달라질지 두고봐야 알 것"이라고 말했다.
현 사장은 금감원 종합검사에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 사장은 1월부터 박병명 전 금융감독원 국장을 상품 담당 고문으로 영입했다. 박 고문은 전주고, 서울대 법학과를 나와 옛 보험감독원을 거쳐 금융감독원에서 상품계리실장, 보험검사2국장, 보험감독국장을 역임해 경력의 대부분을 보험업무로 쌓은 '보험 전문가'로 꼽힌다.
보험업계를 겨누는 금융 당국의 칼날에 맞서기 위해 박 고문을 영입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금감원은 민원이 몰려오는 보험업계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윤 원장은 지난해부터 소비자 보호를 강조하며 보험회사를 압박해 왔다. 옛 자살보험금 사태 때 보험회사를 압박했던 이성재 보험담당 부원장보를 임명해 보험회사 종합검사를 맡긴다는 포석도 깔았다.
윤 원장은 지난해 ‘보험산업 감독혁신 태스크포스 1차 회의’에서 “보험금 미지급, 불완전판매에 따라 보험산업을 놓고 신뢰도가 높지 않다”며 “소비자 불만을 일으키는 보험산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
삼성생명 암보험금과 관련한 민원을 놓고 최대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며 금감원과 관계 개선에 나서고 종합검사를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

▲ 현성철 삼성생명 대표이사 사장.
23일 금감원 관계자에 따르면 금감원은 조만간 금융위원회에 종합검사 진행방안을 보고한다. 종합검사를 실시할 금융회사 명단이나 세부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종합검사는 금감원 검사 인력 20~30명이 길게는 한달 이상 한 금융회사에 머무르며 회사 업무 전반을 종합적으로 살피는 강도 높은 검사다.
2016년 규제 완화 차원에서 중단됐다가 지난해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취임한 이후 다시 도입됐다.
삼성생명은 지난해부터 금감원과 즉시연금, 암보험금 등을 놓고 대립각을 세웠던 만큼 이번 종합검사에 첫 검사대상으로 꼽힐 가능성이 높다.
윤 원장은 18일 금감원 신입 직원 임용식이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삼성생명도 종합검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직접 말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현 사장은 금감원과 갈등관계를 이어가기보다 최대한 금감원의 의견을 수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요양병원비용 지급과 관련해 민원인의 손을 들어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생명은 그동안 암환자의 요양병원 입원비용을 암보험금에 포함해야 하는지를 놓고 항암치료를 진행한 주치의의 권고가 있는 상황에서만 보험금으로 취급하겠다는 의견을 유지했다.
하지만 주치의의 소견서가 없더라도 급하게 암이 재발하거나 상태가 악화된 사례에 한해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여론이 부각되면서 삼성생명은 이를 받아들일지 여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
주치의가 요양치료를 권고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후 상태가 악화돼 소견서 없이 요양병원에 입원했다면 이를 암치료의 연장선상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삼성생명이 아직까지는 항암치료를 진행한 주치의의 소견만 보험급 지급 의견서에 반영했다"면서도 "다만 수십 건의 민원사례 가운데 아직까지 두 건의 의견서만 제출한 만큼 향후 삼성생명의 의견이 어떻게 달라질지 두고봐야 알 것"이라고 말했다.
현 사장은 금감원 종합검사에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 사장은 1월부터 박병명 전 금융감독원 국장을 상품 담당 고문으로 영입했다. 박 고문은 전주고, 서울대 법학과를 나와 옛 보험감독원을 거쳐 금융감독원에서 상품계리실장, 보험검사2국장, 보험감독국장을 역임해 경력의 대부분을 보험업무로 쌓은 '보험 전문가'로 꼽힌다.
보험업계를 겨누는 금융 당국의 칼날에 맞서기 위해 박 고문을 영입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금감원은 민원이 몰려오는 보험업계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윤 원장은 지난해부터 소비자 보호를 강조하며 보험회사를 압박해 왔다. 옛 자살보험금 사태 때 보험회사를 압박했던 이성재 보험담당 부원장보를 임명해 보험회사 종합검사를 맡긴다는 포석도 깔았다.
윤 원장은 지난해 ‘보험산업 감독혁신 태스크포스 1차 회의’에서 “보험금 미지급, 불완전판매에 따라 보험산업을 놓고 신뢰도가 높지 않다”며 “소비자 불만을 일으키는 보험산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