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케미칼과 OCI가 2019년 태양광시황 회복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응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9일 “2019년 태양광시황은 고효율 제품 위주로 회복될 것”이라며 “고효율 셀 양산체제를 구축한 한화케미칼과 고순도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OCI가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글로벌 태양광시장에서는 태양광발전 기술의 향상과 제품 가격의 하락으로 그리드 패러티(태양광 발전단가가 화석연료 발전단가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낮아지는 상황)에 도달하는 나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원은 “그리드 패러티 달성으로 보조금을 필요로 하지 않는 태양광 프로젝트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2018년 3분기 중국에서 건설된 태양광 발전소의 60%는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은 프로젝트”라고 분석했다.
그리드 패러티에 도달하려면 고효율 셀의 활용이 불가피하다. 고효율 셀을 생산하는 한화케미칼의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케미칼은 전체 셀 생산능력 8기가와트시(GWh) 가운데 3기가와트시를 고효율 단결정 셀 생산에 쓰고 있다.
OCI는 고효율 태양광 제품의 원재료인 고순도 폴리실리콘을 생산하고 있어 마찬가지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OCI는 전체 폴리실리콘 생산량 6만9천 톤 가운데 국내에서 생산하는 5만2천 톤이 고순도 폴리실리콘이다.
다만 OCI의 실적 개선은 한화케미칼보다 늦을 것으로 전망됐다.
2019년부터 GCL, OCI, 바커 등 글로벌 폴리실리콘 생산량 상위 3개 회사의 생산량 합계가 지난해보다 47%가량 늘어나 공급과잉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2019년 상반기는 고순도 폴리실리콘의 과잉 공급이 예상된다”며 “폴리실리콘 가격의 본격적 반등은 올해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이응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9일 “2019년 태양광시황은 고효율 제품 위주로 회복될 것”이라며 “고효율 셀 양산체제를 구축한 한화케미칼과 고순도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OCI가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김창범 한화케미칼 대표이사 부회장(왼쪽), 이우현 OCI 대표이사 사장.
최근 글로벌 태양광시장에서는 태양광발전 기술의 향상과 제품 가격의 하락으로 그리드 패러티(태양광 발전단가가 화석연료 발전단가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낮아지는 상황)에 도달하는 나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원은 “그리드 패러티 달성으로 보조금을 필요로 하지 않는 태양광 프로젝트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2018년 3분기 중국에서 건설된 태양광 발전소의 60%는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은 프로젝트”라고 분석했다.
그리드 패러티에 도달하려면 고효율 셀의 활용이 불가피하다. 고효율 셀을 생산하는 한화케미칼의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케미칼은 전체 셀 생산능력 8기가와트시(GWh) 가운데 3기가와트시를 고효율 단결정 셀 생산에 쓰고 있다.
OCI는 고효율 태양광 제품의 원재료인 고순도 폴리실리콘을 생산하고 있어 마찬가지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OCI는 전체 폴리실리콘 생산량 6만9천 톤 가운데 국내에서 생산하는 5만2천 톤이 고순도 폴리실리콘이다.
다만 OCI의 실적 개선은 한화케미칼보다 늦을 것으로 전망됐다.
2019년부터 GCL, OCI, 바커 등 글로벌 폴리실리콘 생산량 상위 3개 회사의 생산량 합계가 지난해보다 47%가량 늘어나 공급과잉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2019년 상반기는 고순도 폴리실리콘의 과잉 공급이 예상된다”며 “폴리실리콘 가격의 본격적 반등은 올해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