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수주에 도전하고 있는 미국 고등훈련기 교체사업(APT사업)에서 최종 결과를 눈앞에 두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16일 “(파트너기업인) 록히드마틴이 미국 공군으로부터 13일에 최종 가격 제안서(FPR)를 접수받았다”며 “15일 오후 3시35분에 최종 제안서(BAFO)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향후 공식적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미국 고등훈련기 교체사업은 미국 공군이 운용하는 노후화한 훈련기를 새 훈련기로 교체하는 사업으로 초기 물량만 350대, 약 17조 원에 이르는 대규모 사업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과 컨소시엄을 이뤄 사업 수주에 도전하고 있다. 유력한 경쟁 상대는 스웨덴 사브-미국 보잉 컨소시엄이 꼽힌다.
최종 제안서를 제출하면서 이르면 8월 말에서 늦어도 9월 초까지는 수주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방산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의 회계 시스템으로 볼 때 9월에 모든 예산 일정이 끝나기 때문에 9월 안에는 계약이 진행돼야 한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은 16일 “(파트너기업인) 록히드마틴이 미국 공군으로부터 13일에 최종 가격 제안서(FPR)를 접수받았다”며 “15일 오후 3시35분에 최종 제안서(BAFO)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표이사 사장.
한국항공우주산업은 “향후 공식적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미국 고등훈련기 교체사업은 미국 공군이 운용하는 노후화한 훈련기를 새 훈련기로 교체하는 사업으로 초기 물량만 350대, 약 17조 원에 이르는 대규모 사업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과 컨소시엄을 이뤄 사업 수주에 도전하고 있다. 유력한 경쟁 상대는 스웨덴 사브-미국 보잉 컨소시엄이 꼽힌다.
최종 제안서를 제출하면서 이르면 8월 말에서 늦어도 9월 초까지는 수주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방산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의 회계 시스템으로 볼 때 9월에 모든 예산 일정이 끝나기 때문에 9월 안에는 계약이 진행돼야 한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