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대한항공 경영권을 놓고 결단해야 할 시점이 오고 있는 것일까?
대한항공은 15일 한진그룹 오너일가의 갑횡포와 비리 의혹과 관련해 사실관계 해명이나 대책 등을 국민연금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5일 대한항공에 공개서한을 보내 “대한항공 입장과 그 입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자료, 대한항공을 대표할 수 있는 경영진 및 사외이사와 비공개 면담 등을 요청한다”며 “15일까지 답변하라”고 요구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날 안에 국민연금에 답변을 보낼 것”이라면서도 “답변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한항공 측 답변에는 경영 쇄신안은 물론 경영권 유지 등을 놓고 조 회장의 의사를 가늠할 만한 내용이 담겼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 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는 5일 “한진그룹 관련 여러 불법 혐의에 조사가 이어지고 국민의 우려가 가라앉지 않는 일련의 상황을 보면서 국민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지키기 위해 실효성 있는 대책과 예측 가능한 계획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한진그룹 측에 경영관리체계 개선 등을 포함해 문제 해결을 위해 더욱 효과적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이 7월부터 주주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고 나설 공산이 큰 만큼 조 회장은 갈수록 결단해야 하는 시점으로 내몰리고 있다.
국민연금은 7월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에 발맞춰 투자목적을 ‘단순 투자’에서 ‘경영 참여’로 넓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한진그룹 오너일가를 이사에서 해임하거나 새 사외이사 추천하는 등 방안을 추진할 수도 있다고 재계는 바라보고 있다.
조 회장은 한진그룹 오너일가의 갑횡포와 비리 의혹을 놓고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검찰 등 정부기관이 지속적으로 수사하고 있는 만큼 구체적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무언의 방어권’을 행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의 재벌개혁 기조는 더욱 굳어지고 있어 조 회장의 이런 대응법은 약효를 내기는 어려워 보인다.
6.13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면서 정부가 재벌개혁 기조를 한층 강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15일 MBC라디오 이범의 시선집중에 나와 “한진그룹은 일감 몰아주기 말고도 여러 위반 혐의들이 있다”며 “비교적 빨리 결과를 낼 수 있는 사안도 있어 그 부분은 이른 시일 안에 조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한진그룹을 특정해 '이른 시일'이란 점을 못박은 것으로 볼 때 일감 몰아주기나 통행세 등 여러 의혹이 불거졌던 위반사항과 관련한 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
기획재정부와 인사혁신처는 정부 항공운송 의뢰제도를 폐지하기로 했으며 올해 10월 말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과 맺은 항공권 공급계약을 해지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정부는 1990년부터 38년가량 정부 항공운송 의뢰제도를 유지해 왔는데 최근 두 달가량 관계부처들 사이 논의를 진행해 이를 폐지하기로 했다.
공무원들이 해외 출장 때 국적 항공기를 타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바뀌는 것인데 대한항공의 갑횡포를 둘러싼 논란이 정책 결정의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조 회장 등 한진그룹 오너일가는 상속세 탈루나 횡령·배임 등 혐의로 검찰 수사선 위에 올라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
대한항공은 15일 한진그룹 오너일가의 갑횡포와 비리 의혹과 관련해 사실관계 해명이나 대책 등을 국민연금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오늘Who] 조양호, 대한항공 경영권 놓고 결단의 시점으로 몰리다](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1806/20180615165153_47152.jpg)
▲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5일 대한항공에 공개서한을 보내 “대한항공 입장과 그 입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자료, 대한항공을 대표할 수 있는 경영진 및 사외이사와 비공개 면담 등을 요청한다”며 “15일까지 답변하라”고 요구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날 안에 국민연금에 답변을 보낼 것”이라면서도 “답변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한항공 측 답변에는 경영 쇄신안은 물론 경영권 유지 등을 놓고 조 회장의 의사를 가늠할 만한 내용이 담겼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 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는 5일 “한진그룹 관련 여러 불법 혐의에 조사가 이어지고 국민의 우려가 가라앉지 않는 일련의 상황을 보면서 국민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지키기 위해 실효성 있는 대책과 예측 가능한 계획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한진그룹 측에 경영관리체계 개선 등을 포함해 문제 해결을 위해 더욱 효과적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국민연금이 7월부터 주주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고 나설 공산이 큰 만큼 조 회장은 갈수록 결단해야 하는 시점으로 내몰리고 있다.
국민연금은 7월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에 발맞춰 투자목적을 ‘단순 투자’에서 ‘경영 참여’로 넓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한진그룹 오너일가를 이사에서 해임하거나 새 사외이사 추천하는 등 방안을 추진할 수도 있다고 재계는 바라보고 있다.
조 회장은 한진그룹 오너일가의 갑횡포와 비리 의혹을 놓고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검찰 등 정부기관이 지속적으로 수사하고 있는 만큼 구체적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무언의 방어권’을 행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의 재벌개혁 기조는 더욱 굳어지고 있어 조 회장의 이런 대응법은 약효를 내기는 어려워 보인다.
6.13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면서 정부가 재벌개혁 기조를 한층 강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15일 MBC라디오 이범의 시선집중에 나와 “한진그룹은 일감 몰아주기 말고도 여러 위반 혐의들이 있다”며 “비교적 빨리 결과를 낼 수 있는 사안도 있어 그 부분은 이른 시일 안에 조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늘Who] 조양호, 대한항공 경영권 놓고 결단의 시점으로 몰리다](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1806/20180615165312_39886.jpg)
▲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김 위원장이 한진그룹을 특정해 '이른 시일'이란 점을 못박은 것으로 볼 때 일감 몰아주기나 통행세 등 여러 의혹이 불거졌던 위반사항과 관련한 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
기획재정부와 인사혁신처는 정부 항공운송 의뢰제도를 폐지하기로 했으며 올해 10월 말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과 맺은 항공권 공급계약을 해지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정부는 1990년부터 38년가량 정부 항공운송 의뢰제도를 유지해 왔는데 최근 두 달가량 관계부처들 사이 논의를 진행해 이를 폐지하기로 했다.
공무원들이 해외 출장 때 국적 항공기를 타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바뀌는 것인데 대한항공의 갑횡포를 둘러싼 논란이 정책 결정의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조 회장 등 한진그룹 오너일가는 상속세 탈루나 횡령·배임 등 혐의로 검찰 수사선 위에 올라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