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용카드 거래 등에서 결제를 대행해 주는 결제대행업체(VAN사) 순이익이 10% 가까이 늘어났다.
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7년 부가통신업자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전체 결제대행업 수익의 99.4%를 차지하는 13곳의 2017년 순이익은 모두 1797억 원으로 2016년보다 9.7% 늘어났다.
결제대행업체는 결제의 승인·중계, 결제단말기 설치, 가맹점 모집·관리를 주요 업무로 삼는다.
2017년 영업수익은 2조1344억 원으로 2016년보다 6.8% 증가했다.
결제대행업부문에서 결제 단말기 유상판매가 늘어나 결제대행업 상품(VAN상품) 영업수익이 1년 전보다 35% 확대됐다.
중계수수료 영업수익은 전체 영업수익의 53.9%(1조1508억 원)을 차지하는 주요 수익원으로 지난해 거래 건수가 늘어났는데도 2016년보다 1.3% 줄어들었다.
중계수수료는 신용카드사와 가맹점 사이의 카드거래 승인 등 중계와 매출전표 수거업무 등을 수행하며 받는 수수료를 말한다.
기타사업부문인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과 솔루션사업에서도 영업수익이 1년 전보다 21.9% 증가했다.
영업비용은 1조9011억 원으로 2016년보다 7.4% 늘어났다.
단말기 교체 비용과 가맹점 모집인 지급수수료가 각각 35.7%, 3.7% 증가했다. 다만 가맹점 관리에 들어가는 영업비용은 26.9% 감소했다.
지난해 결제대행업체 자산은 1조9966억 원으로 2016년보다 5.9% 늘어났다. 대리점에서 가맹점 모집 행사 횟수를 줄이면서 현금성자산이 증가했다.
부채는 6799억 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구입으로 장기차입금이 늘어나 2016년보다 4.2% 확대됐다. 자본은 1조3167억 원으로 이익잉여금이 더해져 2016년보다 6.8%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결제환경이 달라진 만큼 계좌이체를 이용한 온라인 간편결제, 근거리 무선통신(NFC) 결제, 신종 결제수단 활성화 등을 지원하겠다”며 “결제대행업체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살깎기식 경쟁을 방지하고 합리적 수수료가 산정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
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7년 부가통신업자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전체 결제대행업 수익의 99.4%를 차지하는 13곳의 2017년 순이익은 모두 1797억 원으로 2016년보다 9.7% 늘어났다.

▲ 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7년 부가통신업자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전체 결제대행업 수익의 99.4%를 차지하는 13곳의 2017년 순이익은 모두 1797억 원으로 2016년보다 9.7% 늘어났다. < Pixabay>
결제대행업체는 결제의 승인·중계, 결제단말기 설치, 가맹점 모집·관리를 주요 업무로 삼는다.
2017년 영업수익은 2조1344억 원으로 2016년보다 6.8% 증가했다.
결제대행업부문에서 결제 단말기 유상판매가 늘어나 결제대행업 상품(VAN상품) 영업수익이 1년 전보다 35% 확대됐다.
중계수수료 영업수익은 전체 영업수익의 53.9%(1조1508억 원)을 차지하는 주요 수익원으로 지난해 거래 건수가 늘어났는데도 2016년보다 1.3% 줄어들었다.
중계수수료는 신용카드사와 가맹점 사이의 카드거래 승인 등 중계와 매출전표 수거업무 등을 수행하며 받는 수수료를 말한다.
기타사업부문인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과 솔루션사업에서도 영업수익이 1년 전보다 21.9% 증가했다.
영업비용은 1조9011억 원으로 2016년보다 7.4% 늘어났다.
단말기 교체 비용과 가맹점 모집인 지급수수료가 각각 35.7%, 3.7% 증가했다. 다만 가맹점 관리에 들어가는 영업비용은 26.9% 감소했다.
지난해 결제대행업체 자산은 1조9966억 원으로 2016년보다 5.9% 늘어났다. 대리점에서 가맹점 모집 행사 횟수를 줄이면서 현금성자산이 증가했다.
부채는 6799억 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구입으로 장기차입금이 늘어나 2016년보다 4.2% 확대됐다. 자본은 1조3167억 원으로 이익잉여금이 더해져 2016년보다 6.8%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결제환경이 달라진 만큼 계좌이체를 이용한 온라인 간편결제, 근거리 무선통신(NFC) 결제, 신종 결제수단 활성화 등을 지원하겠다”며 “결제대행업체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살깎기식 경쟁을 방지하고 합리적 수수료가 산정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