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3대 지수가 혼조세를 보였다.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가 이어졌지만 주요 기업의 좋은 실적이 호재로 작용했다.

25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59.70포인트(0.25%) 오른 2만4083.83에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시 3대 지수 혼조세, 국채 금리 상승세에 관망심리

▲ 25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59.70포인트(0.25%) 오른 2만4083.83에 장을 마감했다.<뉴시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4.84포인트(0.18%) 오른 2639.4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61포인트(0.05%) 내린 7003.74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미국 시장금리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의 관망심리가 부각된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3.02%대에서 거래를 마쳐 2거래일 연속 3%대를 웃돌았다.

금리가 오르면 기업들의 자금조달 비용이 커지고 부채의 이자비용도 커지는 만큼 기업들의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

장 후반 주요 기업들이 1분기 호실적을 내놓으면서 반발매수세가 나타났다.

항공기 생산업체 보잉 주가는 4% 넘게 올랐다.

보잉은 올해 조정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기존 13.80~14달러에서 14.30~14.50달러로 높여 잡고 자사주 매입 규모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반도체업체인 텍사스인스트루먼트도 시장의 기대치를 웃도는 1분기 실적을 내놓으면서 주가가 4%대 급등했다.

반면 트위터는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내놓았지만 주가는 2.4%가량 떨어졌다. 트위터가 올해 매출 증가 속도가 점차 더뎌져 2016년과 유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데 영향을 받았다.

기술주를 상징하는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의 주가는 혼조세를 보였다. 페이스북(0.1%)과 아마존(0.01%), 애플(0.44%), 알파벳(0.03%) 주가는 올랐고 넷플릭스(-0.41%) 주가는 떨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