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을 겨냥해 계속되는 검찰 수사로 편치 않은 처지에 놓이며 경영 복귀 시기를 점치기도 어렵게 됐다.
박근혜 게이트에 이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차명계좌 및 이명박 전 대통령 뇌물 제공 혐의, 삼성그룹 노조 와해 수사 등으로 쉴 틈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검찰은 미래전략실과 삼성경제연구소 등 삼성그룹 핵심 조직이 각 계열사의 노조 와해 활동을 지원했다고 보고 19일 삼성전자 본사와 삼성전자서비스 등을 압수수색해 조사했다.
노조 와해 의혹은 그룹 차원의 전략 수립과 인사, 대관업무 등을 총괄하던 삼성 미래전략실이 막강한 권한을 통해 계열사들에 영향력을 행사한 '과오'로 기록될 수도 있다.
이 부회장은 박근혜 게이트 항소심에서 석방된 뒤 사회적 여론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이 회장과 삼성그룹을 둘러싼 문제들이 계속 불거지는 점은 반갑지 않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이 부회장에게 과거와 확실히 단절하는 변화 의지를 과시하는 전화위복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2월 삼성 미래전략실을 해체하며 이전과 같은 불투명한 경영체제를 구축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 때문에 과거 미래전략실이 주도했던 일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울 수 있다.
특히 노조 와해 논란이 커지자 삼성전자서비스가 협력사 직원들을 직접 채용하고 노조 활동을 인정하기로 하며 삼성의 '80년 무노조 경영'에 사실상 마침표를 찍은 것은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
삼성의 무노조 경영 폐지는 에스원과 삼성웰스토리 등 이미 금속노조 산하 독립노조를 갖춘 계열사를 포함해 대부분의 계열사로 빠르게 확산될 공산이 크다.
이 부회장으로서는 삼성그룹이 창립 이래 지켜오던 무노조 경영 원칙의 폐기를 통해 삼성이 달라지고 있다는 점을 확실하게 보여줄 수 있다.
물론 무노조 경영 폐지가 이 부회장과 삼성그룹에 안기는 과제도 만만치 않다.
삼성 미래전략실이 해체되면서 컨트롤타워가 사라져 계열사별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아직 완전히 자리잡지 못했다.
특히 계열사들이 노조와 직접 소통해 본 경험과 노하우를 갖추지 않은 점도 약점이다. 노조와 임금협상 등을 놓고 조율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도 있다.
삼성전자 등 일부 계열사는 노조 역할을 일부 대체하는 사원협의회를 구성해 임금과 근로조건 등을 협상하고 있지만 역할이 크지 않다.
이 부회장은 항소심 최후진술에서 "지금까지 꼬인 실타래를 책임지고 풀어나가겠다"며 "사회와 임직원들로부터 인정받는 경영인이 되고 싶었다"고 말했다.
삼성이 무노조 경영 폐기를 통해 확실한 변화를 보여주는 일은 그 출발선이 될 수 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최근 YTN라디오를 통해 "삼성이 스스로 합리적 변화 방향을 시장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며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박근혜 게이트에 이어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차명계좌 및 이명박 전 대통령 뇌물 제공 혐의, 삼성그룹 노조 와해 수사 등으로 쉴 틈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오늘Who] 이재용에게 '노조 와해' 대응은 삼성 변화 보여줄 기회다](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1804/20180420152542_130460.png)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검찰은 미래전략실과 삼성경제연구소 등 삼성그룹 핵심 조직이 각 계열사의 노조 와해 활동을 지원했다고 보고 19일 삼성전자 본사와 삼성전자서비스 등을 압수수색해 조사했다.
노조 와해 의혹은 그룹 차원의 전략 수립과 인사, 대관업무 등을 총괄하던 삼성 미래전략실이 막강한 권한을 통해 계열사들에 영향력을 행사한 '과오'로 기록될 수도 있다.
이 부회장은 박근혜 게이트 항소심에서 석방된 뒤 사회적 여론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이 회장과 삼성그룹을 둘러싼 문제들이 계속 불거지는 점은 반갑지 않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이 부회장에게 과거와 확실히 단절하는 변화 의지를 과시하는 전화위복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2월 삼성 미래전략실을 해체하며 이전과 같은 불투명한 경영체제를 구축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 때문에 과거 미래전략실이 주도했던 일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울 수 있다.
특히 노조 와해 논란이 커지자 삼성전자서비스가 협력사 직원들을 직접 채용하고 노조 활동을 인정하기로 하며 삼성의 '80년 무노조 경영'에 사실상 마침표를 찍은 것은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
삼성의 무노조 경영 폐지는 에스원과 삼성웰스토리 등 이미 금속노조 산하 독립노조를 갖춘 계열사를 포함해 대부분의 계열사로 빠르게 확산될 공산이 크다.
이 부회장으로서는 삼성그룹이 창립 이래 지켜오던 무노조 경영 원칙의 폐기를 통해 삼성이 달라지고 있다는 점을 확실하게 보여줄 수 있다.
물론 무노조 경영 폐지가 이 부회장과 삼성그룹에 안기는 과제도 만만치 않다.
삼성 미래전략실이 해체되면서 컨트롤타워가 사라져 계열사별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아직 완전히 자리잡지 못했다.
특히 계열사들이 노조와 직접 소통해 본 경험과 노하우를 갖추지 않은 점도 약점이다. 노조와 임금협상 등을 놓고 조율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도 있다.
삼성전자 등 일부 계열사는 노조 역할을 일부 대체하는 사원협의회를 구성해 임금과 근로조건 등을 협상하고 있지만 역할이 크지 않다.
이 부회장은 항소심 최후진술에서 "지금까지 꼬인 실타래를 책임지고 풀어나가겠다"며 "사회와 임직원들로부터 인정받는 경영인이 되고 싶었다"고 말했다.
삼성이 무노조 경영 폐기를 통해 확실한 변화를 보여주는 일은 그 출발선이 될 수 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최근 YTN라디오를 통해 "삼성이 스스로 합리적 변화 방향을 시장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며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