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LIG넥스원, 현대로템 등 방산기업들이 정부의 첨단무기체계 조기 구축정책에 따른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이창희 키움증권 연구원은 2일 “국방부는 한국형 3축 체계를 조기에 구축해 자주국방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며 “관련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형 3축 체계는 킬체인(한국으로 발사되는 미사일의 선제적 제거계획)과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 대량 응징보복체계(KMPR) 등을 말한다.
국방부는 3축 체계를 최대한 빠르게 구축하기 위해 2019~2023년에 예산을 짤 때 3축 체계와 관련한 사업에 예산을 최우선으로 반영하기로 했다.
북한 모든 지역에서 벌어지는 군사 관련한 징후를 탐지·식별하고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고고도 정찰용 무인항공기를 개발하고 타우러스 등을 추가로 구매하기로 했다.
탄도탄을 탐지하고 요격능력 향상, 핵심시설 방어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M-SAM)의 성능을 개량하기로 했으며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L-SAM)의 개발사업에도 투자를 확대한다.
3측 체계 구축을 가속하면 관련 무기와 제품을 생산하는 방산기업들의 일감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한국형기동헬기 수리온을 개량한 해병대용 상륙기동헬기 양산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대량 응징보복체계에 따라 북한 핵심지역 파괴를 위한 타격전력의 임무 수행능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이다.
LIG넥스원은 미사일 생산을 주력사업으로 삼고 있는 만큼 미사일 성능 개량사업과 개발사업에서 혜택을 볼 수 있다.
현대로템은 차륜형장갑차 양산에 필요한 예산 증가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로템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차를 생산하는 방산기업이라 전차 관련 예산이 늘어나면 수혜를 온전히 보게 된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이창희 키움증권 연구원은 2일 “국방부는 한국형 3축 체계를 조기에 구축해 자주국방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며 “관련 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 (왼쪽부터)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표이사 사장, 김지찬 LIG넥스원 대표이사 사장, 김승탁 현대로템 대표이사 사장.
한국형 3축 체계는 킬체인(한국으로 발사되는 미사일의 선제적 제거계획)과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 대량 응징보복체계(KMPR) 등을 말한다.
국방부는 3축 체계를 최대한 빠르게 구축하기 위해 2019~2023년에 예산을 짤 때 3축 체계와 관련한 사업에 예산을 최우선으로 반영하기로 했다.
북한 모든 지역에서 벌어지는 군사 관련한 징후를 탐지·식별하고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고고도 정찰용 무인항공기를 개발하고 타우러스 등을 추가로 구매하기로 했다.
탄도탄을 탐지하고 요격능력 향상, 핵심시설 방어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M-SAM)의 성능을 개량하기로 했으며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L-SAM)의 개발사업에도 투자를 확대한다.
3측 체계 구축을 가속하면 관련 무기와 제품을 생산하는 방산기업들의 일감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한국형기동헬기 수리온을 개량한 해병대용 상륙기동헬기 양산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대량 응징보복체계에 따라 북한 핵심지역 파괴를 위한 타격전력의 임무 수행능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이다.
LIG넥스원은 미사일 생산을 주력사업으로 삼고 있는 만큼 미사일 성능 개량사업과 개발사업에서 혜택을 볼 수 있다.
현대로템은 차륜형장갑차 양산에 필요한 예산 증가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로템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차를 생산하는 방산기업이라 전차 관련 예산이 늘어나면 수혜를 온전히 보게 된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