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의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에서 굴삭기 수요가 늘어나 두산인프라코어의 매출이 늘고 미국 실물경기 회복에 따라 자회사인 두산밥캣의 소형건설기계장비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두산인프라코어 목표주가 상향, 중국 판매호조에 두산밥캣도 좋아

▲ 손동연 두산인프라코어 사장.


13일 강준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두산인프라코어의 목표주가를 기존 1만4천 원에서 1만4500원으로 상향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가장 큰 굴삭기시장인 중국에서 점유율을 꾸준하게 늘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두산인프라코어는 2015년 말 기준 중국시장 점유율이 6.7%였는데 2017년 말 기준 8.3%로 늘어났다.

두산인프라코어는 2017년에 중국에서 굴삭기 1만851대를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강 연구원은 “두산인프라코어가 중국 네트워크를 재정비하면서 중국시장에 적합한 신제품을 내놓은 뒤 매출이 늘었다”며 “중국시장에서 매출채권과 선수금도 보수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앞으로 매출채권 회수에 대한 리스크도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주요 자회사 두산밥캣은 미국 및 유럽시장에서 소형(Compact) 건설기계 부문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두산밥캣 지분 55.3%를 보유하고 있다.

컴팩트 건설기계의 주요 전방산업은 주택산업인데 현재 미국의 주택경기가 회복세에 진입한 만큼 두산밥캣도 실적이 완만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강 연구원은 “두산밥캣은 다른 건설기계 업체와 달리 사회간접자본(SOC) 매출비중이 작아 전방산업 변화에 따른 실적 불확실성이 작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며 “금리 인상이 미국 주택경기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