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과 '1987' 포스터. |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이 올해 첫 천만관객 영화에 이름을 올리면서 천만관객 영화의 통과의례처럼 겪는 스크린 독과점 논란에 휩싸였다.
7일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6일 신과함께의 스크린 수는 1256곳에 이른다.
신과함께는 지난해 12월20일 개봉 당일 스크린 수 1538곳으로 시작해 개봉 6일째인 12월25일 스크린 수가 1912곳까지 치솟았다. 개봉 3주차에 접어든 만큼 스크린 수가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스크린 수는 1200여 곳을 훌쩍 넘는다.
CJ엔터테인먼트(CJE&M)가 선보인 영화 ‘1987’의 스크린 수도 전날 기준으로 1091곳에 이른다.
두 영화가 2347곳의 스크린을 차지하면서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강철비’의 스크린 수는 456곳에 그쳤다.
천만영화가 나올 때마다 꼬리표처럼 스크린 독과점 논란이 따라붙는다. 스크린 독과점을 하지 않으면 천만영화가 나오기 어려운 게 현실인 탓이다.
신과함께 역시 논란을 피해가지 못했다.
강철비에 출연한 배우 정우성씨는 지난해 무대인사에서 “세 영화 다 좋은 영화고 관객들에게 풍성한 재미를 줄 수 있는 거 같아 즐겁다”면서도 “극장에서 관객들의 선택권이 올곧이 존중받을 수 있는 문화가 되면 더 풍성한 재미를 드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크린 독과점을 하지 않으면 천만영화는 사실상 나오기 어렵다.
영화진흥위원회가 2014년 발간한 ‘통계 분석으로 본 천만영화’에 따르면 2000년 이후 개봉한 천만영화는 개봉 첫 주말에 평균 1200~1300여 곳의 스크린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천만영화가 되려면 개봉 첫 주에 승부를 걸어야 하고 늦어도 3주 안에 500만 명을 돌파해야 한다. 개봉 첫 주가 지나고 다음주에 접어들면 관객 수가 20~30%가량 줄어든다는 점올 고려하면 배급사는 개봉 첫 주에 최대한 많은 스크린을 점유해야 한다.
이 때문에 최대한 많은 스크린 수를 확보하는 게 영화의 흥행에서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다.
갈수록 커지고 있는 제작비 규모도 스크린 독과점을 부추기고 있다. 투자배급사 입장에서 제작비를 빨리 거둬들이기 위해 스크린 독과점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신과함께의 제작비는 1편과 2편을 합쳐 440억 원으로 알려져 있다. 한 편당 6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해야 손익분기점을 넘긴다. 강철비의 제작비는 155억 원으로 40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해야 손익분기점을 넘길 수 있다. 1987의 제작비도 145억 원이다.
매년 제작비 100억 원 이상이 든 대작영화가 10편 이상 꾸준히 나오고 있다. 올해 개봉이 예정된 영화 가운데 제작비 100억 원 이상이 든 영화는 ‘염력’과 ‘안시성’, ‘7년의 밤’ 등 10편을 훌쩍 넘는다.
스크린 독과점을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 지 오래다. 이미 관련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반론 역시 만만치 않다. 관객의 선택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일 뿐 의도적인 독과점이 아니라는 것이다.
신과함께를 연출한 김용화 감독은 최근 YTN에 출연해 스크린 독과점 논란을 놓고 “공급자의 문제가 아닌 소비자의 선택 문제”라고 말했다.
김 감독은 “극장이 특혜를 주려고 쥐고 있다 하더라도 사전예매량, 1순위 관람 의향, 선호도, 인지도를 다 종합하고 출구조사까지 하고 나서 스크린 수가 움직인다”며 “그렇게 염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정 CJCGV 대표도 지난해 7월 ‘2017 중반기 CGV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에서 “최근 들어 수직계열화, 스크린 독과점에 관해 많은 얘기들이 있는데 그렇게 많은 문제를 지니고 있는지 반문하게 된다”며 “70년 전 법으로 대한민국 영화산업을 재단하는 게 맞느냐”고 말했다.
그는 “앨빈 토플러는 법의 속도가 가장 늦다고 했다”며 “바뀌지 않는 법의 속도로 기업의 속도, 산업변화의 속도를 어떻게 따라잡을 수 있을지 공론화의 장을 거쳤으면 한다”고도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