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3사가 파키스탄에서 대규모 해양생산설비를 수주할 기회를 잡을 수도 있다.
파키스탄 정부가 LNG(액화천연가스) 수입량을 늘리겠다는 방침을 세웠는데 해양생산설비는 조선3사가 수주를 독식해온 분야다.
4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앞으로 5년 동안 파키스탄에서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LNG-FSRU) 발주가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조선해운 전문매체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잼 카말 칸 파키스타나 석유장관은 최근 리스본에서 열린 세계LNG정상회의에서 “앞으로 5년 동안 파키스탄 내 LNG 수입수요가 3배 늘어날 것”이라며 “LNG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민간부문에서 최대 3건의 LNG개발 프로젝트가 더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파키스탄은 현재 2기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를 통해 연간 1천만 톤의 LNG를 수입하고 있다.
파키스탄에서 LNG 수요가 2022년까지 가파르게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 5년 안에 LNG 수입량을 연간 3천만 톤으로 늘릴 수 있다고 잼 카말 칸 파키스탄 석유장관은 말했다.
액화천연가스는 석탄이나 등유·경유 등 연료유를 태워 에너지를 얻는 것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경제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파키스탄과 같은 신흥국들은 전력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액화천연가스 수입을 늘리고 있다.
액화천연가스 수요가 늘어나면 이를 운송하는 데 필요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 등의 발주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파키스탄 정부가 LNG 수입량을 지금보다 3배 이상 늘릴 경우 파키스탄에서 최대 8기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가 가동돼야 할 것으로 트레이드윈즈는 파악했다. 이렇게 되면 파키스탄에서 5기 안팎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가 발주될 가능성도 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3사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 부문에서 시장을 독차지하고 있다.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는 2005년 미국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현재 전 세계에 모두 24척이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새로 만든 설비가 19척, 개조된 설비가 5척이다.
조선3사는 전 세계에서 운용되고 있는 모든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를 건조했다. 여태껏 수주를 싹쓸이해온 만큼 앞으로 발주가 늘어나면 조선3사가 수주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파키스탄 정부가 LNG(액화천연가스) 수입량을 늘리겠다는 방침을 세웠는데 해양생산설비는 조선3사가 수주를 독식해온 분야다.

▲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왼쪽부터),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4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앞으로 5년 동안 파키스탄에서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LNG-FSRU) 발주가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조선해운 전문매체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잼 카말 칸 파키스타나 석유장관은 최근 리스본에서 열린 세계LNG정상회의에서 “앞으로 5년 동안 파키스탄 내 LNG 수입수요가 3배 늘어날 것”이라며 “LNG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민간부문에서 최대 3건의 LNG개발 프로젝트가 더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파키스탄은 현재 2기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를 통해 연간 1천만 톤의 LNG를 수입하고 있다.
파키스탄에서 LNG 수요가 2022년까지 가파르게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 5년 안에 LNG 수입량을 연간 3천만 톤으로 늘릴 수 있다고 잼 카말 칸 파키스탄 석유장관은 말했다.
액화천연가스는 석탄이나 등유·경유 등 연료유를 태워 에너지를 얻는 것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경제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파키스탄과 같은 신흥국들은 전력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액화천연가스 수입을 늘리고 있다.
액화천연가스 수요가 늘어나면 이를 운송하는 데 필요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 등의 발주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파키스탄 정부가 LNG 수입량을 지금보다 3배 이상 늘릴 경우 파키스탄에서 최대 8기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가 가동돼야 할 것으로 트레이드윈즈는 파악했다. 이렇게 되면 파키스탄에서 5기 안팎의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가 발주될 가능성도 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3사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 부문에서 시장을 독차지하고 있다.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는 2005년 미국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현재 전 세계에 모두 24척이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새로 만든 설비가 19척, 개조된 설비가 5척이다.
조선3사는 전 세계에서 운용되고 있는 모든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를 건조했다. 여태껏 수주를 싹쓸이해온 만큼 앞으로 발주가 늘어나면 조선3사가 수주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